세금·세무
부가세 예정고지받고 납부는 안했을때 회계처리질문입니다.
2기로 가정하고
예정고지받고 납부 바로안하고 2기확정기한에한다고할떄,
고지받은날에 회계처리를 어떻게해야하나요
차변에 부가세예수금 // 대변에 미지급세금
이렇게하면되나요?
고지받고 납부를 바로했다면 대변에 보통예금같은거올테고 . .
선납세금계정은 필요가없는거같은데 맞나요?
선납세금계정써봐야 짜피 부가세예수금이랑 상계해야할거같은데 애초에 부가세예쑤금으로 분개하면되지않나요
혹시
예정고지가 예쩡기간에 실제 발생한 부가세예쑤금과는 상관없이 전기기준으로 고지되는거니까 선납세금으로한다는 개념인건가요 .. ?
근데 선납세금은 실제로 돈이 나갈떄 잡는거아닌가요 ? 흑흑 헷갈려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부가가치세 납부액은 선납세금이 아닌, 부가가치 예수금과 상계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기재하신 것처럼 예정고지 부가가치세는 (차) 부가가치세 예수금 xxx (대) 미지급금 xxx 로 회계처리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안녕하세요. 전영혁 세무사입니다.
예정고지세액은 실제로 10월 25일까지 납부하는 금액이므로 납부할 때 해당 금액을 선납세금 처리 후 12월 31일 부가가치세 신고 후 부가가치세 분개 시 선납세액 차감해주시면서 상대계정으로 미지급세금 혹은 미수금으로 처리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백승호 세무사입니다.
2021년 2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에 따라 22.1.25에 납부하는 금액을 재무상태표상 미지급세금 등의 계정으로 계상하면 될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