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상속제도는 어땠는지 알려주세요~
조선시대는 유교사상으로 남아선호, 그 중에서도 장자만을 최우선시 했잖아요. 혹시 부모의 재산도 장자만 상속 받을 수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상속제도가 어떻게 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재산상속은 초기부터 존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제자녀균분상속이 관습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조선 후기 제사승계의 중시와 향촌사회에서 가문이 중요해짐에 따라 제사를 주재하는 장자우대상속으로 정착하였습니다.이러한 관습은 일제강점기에 더욱 강화되어 1958년 제정된 민법에서도 호주상속인을 우대하였다고 합니다.
조선후기~일제강점기로 갈수록 호주에 대한 상속을 우대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는 재산상속이나 제사상속에 있어 모두 아들과 딸 사이에 균등하게 상속되는 성격이 강했습니다. 자녀 간의 상속분에 차이가 없는 균분상속의 형태를 지속했습니다. 이러한 전통이 조선 초기 까지 지속 되다가 17세기 이후에는 남아 선호 사상이 지배적으로 나타나면서 장남 상속이 우세해 지고 남녀 간의 차별화된 상속이 생기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장자성속이 일반적이었다고 알고 있지만 적어도 조선 중기까지는 남녀나 서열에 관계없이 균분상속을 하였고 딸과 사위도 제사를 모셨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