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07.26

경제학에서 앵커링 효과는 어떤 걸 의미하는 건가요?

경제용어중에서 앵커링 효과라는 용어는

경제영역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사용이되던데

경제학적 측면에서의 앵커링 효과는 어떤 효과를 의미하는 건가요?


실생활에서 앵커링 효과라고 설명할 수 있는

사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배가 닻(anchor)을 내리면 닻과 배를 연결한 밧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듯이 처음에 인상적이었던 숫자나 사물이 기준점이 되어 그 후의 판단에 왜곡 혹은 편파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란 특정한 숫자나 기준점으로 작용하여 이후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과거 이 앵커링 효과의 창시자 카너먼과 트버스키는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1에서 100까지 적혀있는 룰렛을 돌려 나온 숫자가 유엔에 가입한 국가들 중 아프리카 국가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많은지 적은지 추측해보라는 질문을 하였습니다. 그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실제 아프리카 국가의 비율과는 관계 없이 자신이 뽑은 숫자를 기준으로 해당 숫자에 가까운 숫자를 정답으로 제시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란? 닻을 내린 배가 움직이려고 해도 밧줄의 범위 밖으로는 벗어날 수 없듯이, 인간의 사고와 판단도 처음에 제시된 어떠한 정보의 범위 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말합니다. 조근 더 확대 하면 상대방의 사고범위를 제한하는 특정 기준을 미리 머릿속에 주입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트나 홈쇼핑에서 한 TV의 가격을 10만원이라고 알려 주고 실제 판매가를 알리고 그 후에 '파격가'라는 수식어 등을 붙이면 소비자는 충동구매에 빠질 수 있다는 이론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에서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는 인간의 판단이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편향 현상을 말합니다. 이 효과는 정보를 받아들이거나 평가할 때, 초기에 받은 정보에 지나치게 영향을 받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앵커링 효과는 주로 숫자나 값에 적용되며, 초기 정보(앵커)가 이후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초기 정보를 기준으로 그것보다 높거나 낮은 값을 평가하거나 추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상품의 가격을 고려해 보겠습니다. 만약 초기에 높은 가격으로 제시된 후에 할인이 적용되었다면, 사람들은 할인된 가격을 현재 가격보다 싸게 느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초기에 낮은 가격으로 제시되었다면 할인이 적용된 가격도 비싸게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

    개인의 판단의 기준점을 anchor(닻-앵커)의 의미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판단이나 결정을 할 때, 이전에 제시된 정보나 숫자(앵커-기준점)에 영향을 받아 그것을 기준으로 판단 또는 결정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때, 판매자가 상품가격을 10달러를 받고 있었다면 이 가격이 소비자들의 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10달러를 기준(앵커)으로 상품의 가격을 판단합니다. 그래서 이후 판매자가 5달러로 할인해도, 소비자들은 여전히 10달러를 기준으로 가격을 할인하여 평가합니다 이는 초기에 제시된 앵커(10달러)가 소비자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앵커리 효과는 행동경제학 용어로, 특정한 숫자나 기준점으로 작용하여 이후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비즈니스 영역에서 협상기술과 관련하여 원하는 조건 또는 가격을 먼저 제시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알려진 현상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기 정보(앵커)가 사람들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매장에서 상품을 정가의 두 배로 표시한 후 할인 가격으로 판매하는 경우 판매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 그 예라고 할수있엉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앵커링 효과 (anchoring effect)는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할 때 초기에 접하게 된 숫자나 기준 등에 영향을 받아 이후 판단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합니다. 경제학에서 앵커링 효과는 소비와 거래에서 발견됩니다. 소비자들이 특정 가격에 익숙해지면 현실을 잊은 채 상품의 가치를 판단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앵커링효과는 찾아보니 어떤 사항에 대한 판단을 내릴 때 초기에 제시된 기준에 영향을 받아 판단을 내리는 현상을 말하구요 명품업체가 매장에 최고가의 물품을 가격표를 보이게 진열하는 것은 반드시 판다는 목적이 아니라, 500만 원짜리 가방도 그다지 비싸지 않다고 착각하게 만들기 위한 방식을 예로 말하네용!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학에서 앵커링 효과는 결정을 할 때 처음에 제시된 정보 또는 "앵커"에 영향을 받아 판단을 하는 인지적 편향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이 판단을 할 때 주어진 정보를 기준으로 삼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생활에서 예를 들면 부동산 거래에서 매도자가 높은 가격을 제시하면, 매수자들은 이를 앵커로 하여 실제 가격 협상 시 더 높은 가격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