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연금? 연금저축? 연금저축보험? 변액연금?
40대 중반입니다
늦었지만 연금을 들려고 하는데..연말소득공제 받는 거랑 상관없이요..
용어가 넘 헷갈려요
각각의 장단점이랑 이 나이에 가입하면 그나마 좋은
선택지는 뭐가 있을 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2년차 보험인!!!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경식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연금 알아보시는거 너무 어렵죠?
상품종류도 많아서 헷갈릴 겁니다.
"제가 좀 심플하게 추천드릴께요!"
[ 현상황 ]
- 40대 중반 이셔서
- 연금수령시기를 60~65세로 잡는다면, 20년가량이 남았습니다.
연금재원 쌓는 기간 (보험료 납입기간이죠)은 나이가 있어서
중간에 수입이 끊길수 있으니 10년으로 추천드리구요!
- 연금재원이 최대로 쌓인 10년후부터 굴릴수 있는 기간이 짧습니다. 10년남죠!
이점때문에 변액연금은 배제 하겠습니다.
(참고) 변액연금은 펀드와 채권에 투자되는 상품입니다.
재원을 굴릴수 있는 기간이 짧은데요. 만약 50대 후반에 금융위기 같은 사항으로
큰 손실이 발생된다면, 당장 개시해야 하는 연금 계획과 목표가 무너져 버릴수 있습니다.
지금은 더큰 수익을 내서 연금 조금더 받는거 보다는
안정적으로 모아서
반드시 받을 수 있는 "이자 적립식 연금"을 최종 추천합니다!
- 이자 적립식 연금은 보험사에서 판매하는 "비과세연금"입니다!
(세액공제는 안되지만, 연금소득세가 안나옵니다)
현재상황으로 연금상품은 "비과세연금"으로 결정을 했는데요!
비과세 연금을 가입하더라도
가입 방법에 따라 이자를 최대로 만들 수 있기에 알려드립니다.
● 월 납입금액의 33%만 가입할것
(66%는 보험계약이후에 추가납입신청할것)
이렇게 납입금액을 설정한다면 2가지의 장점이 생깁니다.
1. 사업비가 적게 들어갑니다!
(단적인 예시)
➜ 60만원 통으로 가입하면 사업비 9% (차감수수료 54,000원)
➜ 20만원 기본계약시 사업비 9% (차감수수료 18,000원)
+ 40만원은 추가납입수수료 2%시 (8,000원차감) = 합산 26,000원 차감!
=> 똑같이 매월 60만원을 내더라도 수수료(사업지) 차이는 2배가 될수도 있죠!
사업비를 조금 뗀다는 것은, 고객에게 남는게 많아 지는거구요^^
이렇게 해야 해지환급금이 훅훅~ 올라갑니다!
(사업비율은 통상범위로 임의로 적어드린겁니다)
2. 보험료 부담이 덜해집니다!
추가납은 자유롭게 내맘대로 정지 - 추가 - 조절까지 할수 있어요!
연금이라도 보험사 상품이라 중간에 안내면 실효 됩니다!
10년 기간동안 힘들어 질수도 있잖아요!
이럴때 기본납입보험료는 무조건 내야 하지만!!
추가납입 설정해 논건 마음껏 조절 가능하니까 좋습니다!
질문주신것만을 토대로 제 임의로 추천을 드려 봤습니다.
다른 제안과도 비교해 보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지원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저축성보험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목돈마련이나 노후생활자금을 대비해주는
보험상품으로 납입한 보험료보다
만기시 지급되는 금액이 더 큰 보험상품 입니다.
저축성보험은 보통 금리가 적금 이자보다 1%이상 ?높고,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가 적용됩니다.
게다가 10년동안 유지하면
15.4% 이자소득세가 면제되는
비과세 혜택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