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미국 주식은 상한가 하한가가 없어도 잘 돌아 가는데 한국은 왜 이렇게 하는건가요?

주식에서 상한가 하한가를 두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미국 주식은 상한가 하한가가 없어도 잘 돌아 가는데 한국은 왜 이렇게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현빈 경제전문가
    최현빈 경제전문가
    경제연구소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와 미국의 규모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 같은 충격을 받아도 미국은 30% 빠질 때 우리나라는 80% 빠질수도 있습니다

    • 80%가 빠지고 다시 원래대로 상승하려면 5배가 올라야 하는데 이미 시장이 무너진 뒤기 때문에

      부담이 큽니다

    • 그렇기에 상하한가로 주주를 보호하고 시장을 보호하려는 전략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주식은 상한, 하한이 없어도 잘 돌아 가는데 한국은 왜 이렇게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상한, 하한이 없으면 투자자와 주식 시장을 보호하기 힘든 것이

    한국 증시의 한계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과도한 변동폭을 줄이고자 하는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주식/증권거래시장을 만들 때 상하한가 제도가 정비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지나친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하여

    이에 따른 상한가, 하한가 제도 등이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에서 상한가와 하한가 제도를 두는 이유는 주가의 급격한 변동을 막아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시장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갑작스러운 가격 변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투기적 거래와 혼란을 방지하려는 것입니다. 반면 미국 주식은 시장 규모가 크고 유동성이 높아 상한가나 하한가가 없어도 시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각 나라의 시장 구조와 투자자 보호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이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주식에 상한가와 하한가를 두는 이유는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막고,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상한가와 하한가는 하루 동안의 주가 변동 폭을 제한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주가 폭등이나 폭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혼란과 손실을 방지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이 시장에 과도하게 휘둘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상한가와 하한가가 없지만, 그 대신 주식이 급격히 변동할 때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지시키는 서킷 브레이커 제도를 사용합니다. 한국에서도 서킷 브레이커 제도를 사용하지만, 상한가와 하한가를 통해 추가적인 안전장치를 마련한 것입니다.

    따라서 한국 시장의 상한가, 하한가 제도는 과도한 투기나 시장 불안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안정성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격제한폭(상한가와 하한가)은 증시에서 지나친 가격 변동에 대한 완충장치인데요. 개인투자자 등 시장의 충격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로 미국과 유럽은 주식시장 가격 제한폭이 없지만,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 등의 국가에서는 시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