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아이들은 언제부터 혼자서 집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을까요?

가끔 부득이하게 외출을 급히 가야하거나 회사에서 하는 일들이 끝나서 집에 들어오는 시간이 늦춰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아이가 집을 혼자보는게 어렵기 때문에 굉장히 난처한 상황이 종종 생깁니다. 그렇다면 아이들은 보통 몇 살붙니 집을 혼자 볼 수 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통은 아이가 부모와윽 분리불안이 없어진 시기부터 혼자 집을 보는게 가능해지는데요. 아이가 가정에서 어떻게 생활이 왔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빠르게 집을 혼자 볼 수 있는 친구들은 유치원 다닐 때 부터 집을 혼자 볼 수도 있습니다. 보통은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혼자 집을 보는 경우가 늘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의 경우에는 혼자서 집을 볼 수 있는 나이는 보통 10세 정도라고 보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아이의 성숙한 정도에 따라서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위험한 것을 하지 않고 자기 단도리를 할 수 있을때 시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어떤일을 할 지 모르겠지만 조심해주시는게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저 학년의 경우 집에 혼자 있다 보면 TV시청을 계속 하거나

    인터넷을 계속 제한 없이 볼 수 있기 때문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3학년 정도면 1~2시간 정도는 혼자 있을 수 있지만 시간이 길어지면

    무섭고 두려워지기 때문에 트라우마가 생길 수 도 있어요

    고학년 5~6학년이 되면 혼자 잘 있지만 너튜브를 하루 종일 봅니다

    아이들에게는 몇 시에 돌아 오겠다고 꼭 말씀하셔야 덜 불안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 정도가 되면 혼자 있을 수 있긴 합니다.하지만 아이의 안전을 위해선 가급적 혼자 두지는 않아야 하지만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이에게 혼자 있을 때 어떻게 해야한다는 것을 꼭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급할때 연락할 수 있기만 하다면 초등 저학년때부터도 잠깐씩 집을보고 있긴 합니다. 다만 연습이 많이 안되있는아이들은 불안함을 많이 느끼니 시간은 적당히 조절할 필요는 있겠네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혼자서 집에 있어도 되겠다 라는 판단이 섰을 때 아이를 혼자 집에 둬도 됩니다.

    하지만 아이가 아직 혼자 집에 있기에는 무리라는 판단이 선다면 절대 아이를 가정에 혼자 있게 내버려 둬서는 안됩니다.

    또 아이가 초등학교 저학년 이라면 아이가 혼자 가정에 있게 내버려 둬서는 안됩니다.

    아이의 안전상 위험도 있기 때문 입니다.

    아이가 낯선 사람을 경계하고, 안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때 가정에 혼자 있게 두어도 됩니다.

    다만 부모님이 너무 늦은 귀가는 아이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아이가 정서적으로 외로움을 느끼지 않도록 해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심리적인 부분을 많이 신경써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혼자 집을 볼 수 있는 나이는 보통 10세에서 12세 사이로, 이는 아이의 성숙도와 독립성에 따라 다릅니다. 아이가 책임감 있게 자신의 물건을 관리하고, 숙제를 제때 마치며, 부모님의 지시를 잘 따르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비상 상황에서 119와 같은 긴급 전화번호를 알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지, 집안 규칙을 이해하고 잘 지키는지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한다면, 혼자 집을 볼 수 있는 준비가 된 것입니다.

  • 아이들은 아마 초등학교 2학년 이후부터는 가능할거 같습니다 저희 아이도 초등학교2학년부터 집에 혼자있어도 괜찮더라구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최소 초 2부터는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본인도 집 가까운곳(학원이나 편의점 등)을 갔다가 현관문 비밀번호를 직접 누르고 들어올 수 있어야하고 비상시 연락할 수 있는 집전화나 휴대전화가 있다면 가능할 것입니다.

    하지만 부득이 어른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으니 가까운 이웃이나 경비실에 도움을 청하는 방법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들이 대게 혼자 있을 수 있는 시간은 연령에 따라 집에 혼자 머무른 시간도 다르다고 봅니다.

    대게 초등학교 2학년 정도면 텔레비젼이나 좋아하는 게임을 하라고 말을 하고 1~2시간은 혼자 가능한것 같습니다.'

    부득이한 일이 생기면 그 방법을 쓰기도 했습니다. 회사에서 늦게 오시는 경우가 종종 있으시다고 하셨는데, 그럴 때는 늦게까지 하는 운동 학원을 보내는 것도 방법이실 거에요. 10시까지 하는 태권도나 쿵푸학원 있거든요. 집에 조금 머물도 있다가 학원을 다녀오면 부모님이 오시는 시간과 비슷하게 짜도 되실것 같습니다. 육아를 하면서 일을 하는것은 늘 어렵습니다. 좋은 아이디어들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보통은 초등학교 고학년정도는 되어야지 어느정도 안정감있게 집에있을수있을것이며 아이의 독립심에 따라서다를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 성향에 따라 다를텐데요,

    저 같은 경우는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정도가 적당한 것 같습니다.

    대신에 안전교육을 확실히 시켜놔야 합니다.

    주방에는 못들어 가도록 하구요, 함부러 현관문도 안 열어 주게 교육을 철저히 시켜주세요

    집에 cctv가 있으면 아이가잘 있는지 확인이 가능해서 좋구요

    (인터넷이 5~10만원대 저렴한 제품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