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나는 언제나 당신의 편입니다.
나는 언제나 당신의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곤충들은 어떻게 서로 의사 소통을 할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사람들은 말로 하면 의사소통이 편한데 인간만이 언어를 가지고 있잖아요. 곤충들은 어떻게 의사 소통을 하는 지 알고 싶습니다. 개미는 특히하게 페로몬이라는 화학 물질을 이용해서 길을 표시하고 먹이의 위치를 알린다고 하는데. 이러한 의사소통은 군집하는 곤충들에게만 있을 것구요. 다른 곤충들은 어떻게 서로 의사 소통을 할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곤충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 소통한다고 연구되고 있어요

    예를 들면 개미는 체로몬

    일부 곤충은 진동, 소리, 색등으로도 소통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이것도 어느 정도를 이론? 추론입니다.

  • 곤충들은 화학적 신호나 소리, 시각적 신호, 촉각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합니다.

    무엇보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이 화학적 신호인 페로몬입니다. 곤충은 페로몬이라는 화학 물질을 분비하여 의사소통하는 경우가 많은데, 짝짓기와 먹이 위치 알림, 위험 경고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활용하는 곤충으로 잘 알려진 것이 개미와 나비, 나방 등입니다.

    또 소리로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 날개나 다리를 비비거나 몸의 특정 부위를 진동시켜 소리를 냅니다. 매미나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도 바로 이런 의사소통의 일환입니다.

    그리고 곤충의 몸 색깔과 무늬는 짝짓기 상대를 유인하거나 포식자에게 경고하는 신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듬이를 사용하여 서로를 만지거나 주변 환경을 탐색하며 더듬이를 통한 촉각은 짝짓기, 먹이 찾기, 위험 감지 등 다양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곤충들은 인간처럼 언어를 사용하지 않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특히 개미나 꿀벌과 같은 사회성 곤충들은 페로몬(화학 신호)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데, 이는 집단 생활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군집 생활을 하지 않는 곤충들도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합니다. 이때 페로몬은 같은 종의 동물 사이에 신호를 보내거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을 말하는 것인데요, 체외분비성 물질이며, 경보 페로몬, 음식 운반 페로몬, 성적 페로몬 등 행동과 생리를 조절하는 여러 종류의 페로몬이 존재합니다. 먼저, 화학적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곤충들은 페로몬을 분비하여 길을 표시하거나 위험을 알립니다. 개미는 먹이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페로몬을 이용하며, 나비나 딱정벌레는 성 페로몬을 분비해 짝을 유인합니다. 또한, 진딧물은 천적이 나타났을 때 경고 페로몬을 방출하여 주변 개체들에게 위험을 알립니다. 시각적 의사소통을 하는 곤충도 있습니다. 반딧불이는 빛을 깜빡이며 짝을 찾고, 무당벌레는 강렬한 색깔을 이용해 포식자에게 자신이 독이 있거나 맛이 없다는 경고 신호를 보냅니다. 청각적 의사소통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매미는 종마다 다른 리듬의 울음소리를 내어 짝을 찾고, 귀뚜라미나 메뚜기는 날개나 다리를 비벼 소리를 내며 상대에게 신호를 보냅니다. 또한, 일부 곤충들은 촉각적 의사소통을 활용합니다. 개미는 서로 더듬이를 부딪치며 먹이를 나누거나 정보를 교환하고, 꿀벌은 "8자 춤"을 추어 다른 벌들에게 먹이의 위치를 알려줍니다. 이처럼 곤충들은 화학적,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신호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군집 생활을 하는 곤충뿐만 아니라 단독 생활을 하는 곤충들도 생존을 위해 짝짓기, 방어, 먹이 탐색 등의 목적을 가지고 신호를 주고받습니다.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은 곤충이 살아가는 환경과 생존 전략에 맞춰 진화해 온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곤충들마다 소통하는 방식이 다 다르지만, 보통 '페로몬'이라는 화학물질을 몸 밖으로 방출하여 다른 곤충들과 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곤충들은 화학적 신호(페로몬), 소리, 빛, 촉각 등으로 의사소통합니다. 개미는 페로몬으로 길을 표시하고, 꿀벌은 8자 춤으로 먹이 위치를 알립니다. 매미와 귀뚜라미는 소리, 반딧불이는 빛 신호를 사용하며, 더듬이로 촉각 신호도 주고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