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이 식으면 더 짜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국이나 요리 등을 먹을때 따뜻할때 먹는거 보다 식은것을 먹으면 더 짜게 느껴집니다.
음식 온도의 영향이 있는거 같은데 무슨이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조그만물총새32입니다.
음식의 맛은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히 짠맛의 경우 음식이 뜨거우면 혀의 미각이 둔해지고 둔해진 입맛에 맞춰 음식이 짜지는 것입니다. 만약 이런 음식을 식었을 때 먹으면 짜게 느껴지는 본래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혀에는 약 9천개의 미뢰라는 기관이 있습니다. 이 미뢰에서는 짠맛, 단맛, 신맛, 쓴맛 4가지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온도변화에 민감해서 차가운 물보다는 따뜻한 물에서 더욱 쉽게 녹습니다. 즉, 차가워진 음식물 안에 있던 소금성분이 제대로 녹지 않아 나트륨 함량이 높아지니 자연스레 짜고 자극적이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국이나 요리 등을 식었을 때 더 짜게 느껴지는 이유는 온도에 따라 혀의 감각과 소금의 용해도가 변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쓴맛은 체온 이하의 온도에서는 거의 맛의 변화가 없지만 체온 이상에서는 맛이 약해지고, 단맛은 35도에서 가장 강하게 느껴집니다.
안녕하세요. 밥이브라운06입니다.
혀의 감각이 둔해집니다. 혀는 온도에 민감한 기관으로 음식의 온도가 낮아지면 감각이 둔해져 음식의 짠맛을 더 잘 느끼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