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섹시한태양새79
섹시한태양새79

관세가 오른다고 물가 전체가 오르나요?

관세 뉴스를 볼 때마다 물가가 아주 많이 뛸 수 있다고 걱정하네요. 진짜 식료품이나 생필품까지 오르는 건지 아니면 일부 제품만 그런 건지, 평범한 사람 기준으론 잘 감이 안 오는데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관세가 올라가면 모든 물가가 한꺼번에 뛰는 건 아니고 수입 비중이 큰 품목에서 먼저 영향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농산물이나 가공식품처럼 해외 의존도가 높은 건 가격 전가가 빨리 오지만, 국산 비중이 큰 생활필수품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습니다. 다만 운송비나 원재료비가 연쇄적으로 반영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물가에도 파급될 수 있어 체감은 점진적으로 확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가 인상되면 곧바로 모든 물가가 다 오르는 건 아닙니다. 주로 해당 관세가 적용되는 품목의 가격이 먼저 움직입니다. 수입 농산물이나 생활용품에 세율이 높아지면 그만큼 비용이 전가돼 소비자가격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다만 전체 물가를 좌우하는 건 그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과 대체재 여부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과일에 관세가 오르더라도 국내 생산품으로 수요가 이동하면 물가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반대로 원유나 곡물처럼 여러 산업에 파급되는 원재료는 관세 상승이 연쇄적으로 다른 제품 가격에도 반영될 수 있습니다. 결국 전반적 물가에 미치는 충격은 관세 품목의 성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관세는 수입물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소비세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세금입니다. 따라서, 관세 부과만큼 당연히 판매가격에 포함될 수 밖에 없지만 미국의 수입자가 이러한 높은 상호관세를 본인이 부담하는 것이 아닌 수출자에게 부담시키면 가격이 크게 상승하지는 않을수도 있습니다.

    다만, 관세는 DDP 조건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는 수입자 부담이며 반반 부담한다고 하더라도 결국 국내 시장가격에 반영되므로 물가는 필연적으로 오를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에서 자유로우나 현재 미국에서는 현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물품이 기본적으로 10% 관세가 부과되며 추가적으로 여러가지 관세가 국가마다 부과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생산을 중국, 동남아에 의존하고 있던 미국 입장에서는 물품가격의 강한 상승을 체감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정책이 소비자 물가의 상승을 불러올것인가에 대한 부분은 기업들이 관세의 얼마만큼을 전가시킬것이냐에 대한 부분에 달려있습니다.

    만약 경쟁이 심한 산업군의 경우 관세에 따른 소비자 전가율이 높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경쟁이 심하지 않은 산업군의 경우 많은 부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여 관세위험을 회피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산업군별 물가상승 그리고 관세정책의 영향 등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