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사업이 관리가 힘든편인가요?
태양광사업이 관리가 힘든 사업인지 궁금합니다. 다른 거주지외에서도 될만한 사업인지 어떤지 궁금하네요 아무래도 관리가 힘들면곤란하잖아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태양광 발전사업은 관리가 까다롭진 않지만, 방치하면 리스크가 큰 사업입니다
즉, 상시 거주지 근처가 아니더라도 운영은 가능하지만, 관리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태양광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서 손이 덜가는 편입니다. 태양광 패널과 인버터 등을 설치한 후 1년에 1~2회 정도 잡초제거, 토사 유출 방지 작업 정도만 실시하면 충분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휴대폰으로 발전상태 등을 점검하며 이상 발생시에는 서비스 업체에 연락하여 조치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태양광 장비의 경우 주기적으로 점검을 받고 청소도 자주 해줘야 발전량이 좋아서 수익이 나게 됩니다.
태양광 패널이 파손이 되거나 금이 가고 또한 꽃가루, 새 똥 등의 오염이 될 경우 발전 효율이 떨어져서 주기적으로 그러한 사항을 점검을 하고 청소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비가 오면 자동 청소가 되는 역할도 하긴 합니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 수명은 25~30년 정도이고 인버터는 약 10년 주기로 교체를 해야 발전 효율이 좋기 때문에 그렇게 난이도가 크게 관리를 해야 하는 부분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태양광 사업은 보기와 달리 관리하기가 어렵습니다. 태양광 패널에 먼지가 쌓이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깨끗하게 관리해줘야 합니다.
태풍이나 눈이 와도 설치가 망가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태양광사업에 대한 관리는 전문 관리화사에 위임하여 관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패널 청결과 주변 이물질관리 잡초관리등 여러가지 문제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업체에 위임처리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앞으로 태양광 사업이 새 정부에서 중점을 두고 추진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가장 취약점이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요소가 항상걱정 되니 압지선정에 충분한 검토와 수익분석에 신경써야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