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알뜰한박새245
알뜰한박새245

부동산으로 수익을 보려면 어느 정도를?

만약 부동산으로 시세차익을 얻으려고 한다면 기간을 어느 정도로 잡아야 할까요? 단기적으로 한 1년 정도 보면 너무 짧겠죠?? 어느 정도가 평균적인 기간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시세차익을 보려면 그래도 2년이상은 가지고 있는것이 좋습니다

    1주택이라면 양도소득세를 피해갈수 있습니다

    아무리 많이 남아도 1년이하에 매도를 하게된다면 양도소득세 70%을 내야합니다

    세금을 피해 가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은 기본적으로 주식 등과 달리 장기간을 보고 투자를 해야 합니다. 특히 주택같은 경우에는 2년 내에 팔게 되면 60%에 이르는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며 건물이나 기타 부동산의 경우에도 그 금액에 따라 6~45%의 세금이 과세되고 오래 보유할 수록 장기보유특별공제 등이 적용되므로 구입시부터 매각 조건을 따져서 구매해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적어도 5년 이상 보유해야 할 수 있으며 양도 소득세를 낮추기 위해 공동 매수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 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부동산을 사서 매도를 해서 단기 차익을 보고 싶을 경우 최소 2년을 지나야 좋습니다.

    왜냐하면 2년이 지나야 매도 시 양도소득세가 비과세이 때문입니다.

    만일에 단타로 경매를 하는 경우는 양도소득세를 가만하고 수익률을 계산을 하시고 도전을 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과 같이 투자기간이 대해서는 평균치는 없습니다. 지역상황이나 매물상황에 따라 구입한지 한달만에 시세가 급등될수도 있고 반대로 10년이 지나도 시세상승이 없을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갭투자나 시세차익을 위한 투자시에는 양도소득세상 단기매매에 따른 중과세를 피하기 위해 최소 2년이상은 보유를 하는게 일반적이며, 2년의 기간을 두고 상승이 있다면 그에 따라 매도나 유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으로 수익을 볼려는 시기는 알 수 없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하락장이 길어지면 10년이 걸릴 수도 있으며 하락장이 짧으면 3~4년 정도도 수익이 나서 확답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투자에서 시세차익을 얻기 위한 기간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단기 투자 (1년 이하)**: 부동산 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단기적인 시세 차익을 노리는 것은 리스크가 높습니다. 1년 정도의 기간은 시장의 변동성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중기 투자 (1~3년)**: 이 기간은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어느 정도 반영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장기 투자 (3년 이상)**: 일반적으로 부동산 투자에서 가장 안정적인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지역 개발, 인프라 확장, 경제 성장 등 다양한 요인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적으로, 부동산으로 시세차익을 얻으려면 최소 3년 이상의 기간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각 지역의 시장 상황이나 경제적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충분한 시장 조사와 분석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