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간편신고(부동산임대사업자) 신고기간은?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간이과세자는 일년간 총 공급대가가 3천만원 미만일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의무가 없습니다. 따라서 신고를 하지 못했더라도 부가가치세에 대한 가산세는 없습니다.다만, 부가가치세와는 별도로 종합소득신고는 반드시 해야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2.09
0
0
직계존비속 및 기타친족의 증여한도 합산이 되어 증여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1)+ 2)+ 3)의 경우부모님께 증여받은 5천만원은 전액 비과세가 됩니다. 그리고 2) +3)은 배우자 및 직계존속 및 직계비속 이외의 친족에 해당 되어 합산해서 천만원까지 비과세가 되므로 1억 2천에서 천만원을 공제한 1억 1천만원이 과세기준 금액이 됩니다. 이를 토대로 증여세 계산을 해보면,1) :0원, 2)+3) : 11,640,000원으로 총 증여세 금액은 11,640,000원이 됩니다. 2. 1)+2)의 경우1)은 비과세, 2)는 총 2천만원에서 1천만원을 공제한 1천만원이 과세기준 금액이 됩니다. 이를 토대로 증여세를 계산해보면1) : 0원, 2): 970,000원으로 총 증여세 금액은 970,000원이 됩니다. 참고로 증여세의 신고 납부는 증여받은날부터 3개월의 말일까지 신고하여야 합니다. (예 : 1월에 증여받았으면 4월 말일까지 신고 및 납부)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취득세·등록세
20.02.09
0
0
임대사업자 등록은 필수 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세무서의 주택 임대사업자 등록은 2020년부터 거의 필수사항입니다. 임대사업자 등록이 없어도 임대소득에 세금 신고는 당연한 것이구요. 세무서에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으면 수입금액의 0.2%의 가산세를 추가로 부담하게 됩니다.만약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고, 소득세 신고를 하게 된다면 국세청은 신고된 소득을 기준으로 주택임대사업자의 등록여부를 검증할 확률이 큽니다.이에반해, 구청 주택임대사업자는 필수는 아닙니다. 다만, 구청과 세무서에 모두 사업자등록을 하셔야 추후 임대소득 감면, 양도소득세 감면 등의 세제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청에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려면 4년 단기임대, 8년 장기임대 중 하나의 의무기간을 선택하셔야 할텐데, 그 의무기간을 충족하시기 전에 사업을 폐지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주택을 양도할 경우에는 상당히 큰 과태료를 부과받기 때문에 구청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은 신중한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2주택 이상이시면 세무서 사업자 등록만이라도 하시길 권해드립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양도소득세
20.02.09
0
0
연말정산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체크카드를 사용할 여유가 되신다면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를 사용하시는 것이 연말정산 시 유리합니다. 공제율이 다르기 때문인데요.기본적으로 체크카드는 소득공제율이 30%인 반면, 신용카드의 소득공제율은 15%입니다. 두 배나 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여유가 되신다면 신용카드 사용보다는 체크카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연말정산
20.02.08
0
0
연말정산을 안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말정산의 의무자는 질문자님의 회사에 있습니다.질문자님께서 회사에 연말정산 자료를 따로 제출하지 않으셨다면, 최소한의 세금공제만 받게 된 채 세금이 정해지고, 회사는 그 금액을 질문자님의 2월 급여에 가감하여 급여를 지급하게 됩니다. 만약, 회사가 그 또한 하지 않았으면 회사에게 가산세가 부과가 됩니다. 만약 질문자님이 연말정산 자료를 누락한 것이 있다면 별도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시거나, 그때에도 하시지 않았다면 소득세 경정청구를 하여야 합니다. 경정청구는 5년내로 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연말정산
20.02.08
0
0
종합소득세 신고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자동차 구매는 자산으로 인식하고 매년 감가상각비를 통해 비용을 인정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안되시고, 건강보험 등 보험료는 비용으로 인정받으실 수 있습니다.부가가치세는 비용으로 인정이 안되고, 사업장 월세, 사업과 관련된 카드 지출은 비용으로 인정 가능합니다. 종합소득세는 1년간의 사업에서 발생한 수입에서 그와 대응되는 비용을 차감한 후의 소득금액을 기준으로 부과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2.08
0
0
연말정산환급시 사측에서 갑근세를 적게내면 그만큼 환급을 덜받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원천징수의무자인 회사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줄 때 소득세를 80%, 100%, 120% 의 비율로 선택해서 징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질문자님의 매월 급여에서 낼 소득세가 100원이라고 하면 회사는 80원 또는 100원 또는 120원으로 징수하고 세금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연말정산을 하면 80%나 100%나 120%나 결과는 같습니다. 결국 내야할 세금은 동일한데, 그동안 다른 비율로 내고 있었으니, 그 차액만큼 정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세금을 더 토해낸다는 것은 아니고, 그동안 세금을 덜 냈으니 덜 낸만큼 더 내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연말정산
20.02.08
0
0
국세청에서 입금처리 누락이나 착오로 부가세 과다 ,청구 할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국세청에서 실수로 누락되어 계속 청구할 확률은 극히 적습니다. 아마 환급금까지도 충당하고 남은 금액이 크기 때문에 계속 독촉문자가 올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관할세무서에 문의하셔서 총 납부할 금액이 얼마이고, 지금까지 얼마 납부하셨는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친절하게 알려드릴 것 같네요.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2.08
0
0
일용직 급여 10만원 미만 소득세환급?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내용을 보니 사업장 쪽에서는 질문자님을 사업소득자로 보고 3.3% 원천징수 한후 소득을 지급한 것 같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질문자님은 일용직 근로소득자가 아니고, 사업소득자라고 합니다. 용어가 헷갈리실 수 있는데, 세법상 일용 근로소득자는 동일한 고용주에게 3개월 미만으로 고용되어 있는 자를 말합니다. 이 일용직 근로자는 하루 일당 받는 급여에서 15만원까지는 비과세가 됩니다.반면 인적용역을 제공하는 사업소득자(프리랜서)는 총액에서 3.3%의 세금을 차감 한 후 지급받게 됩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일용직근로자가 아니고 사업소득자에 해당하니, 5월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신고를 직접 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연말정산
20.02.08
0
0
간이사업자로 되면 현금영수증 부가세 안내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간이사업자도 현금영수증 발급해줄때 부가세를 내야하나요?? 간이사업자는 일반사업자보다 부가세 부담이 훨씬 적습니다. 간이사업자도 부가세를 내긴 냅니다.다만 일반과세자처럼 공급가액의 10%를 내는 것(예 : 110원짜리를 판매하면 100원이 공급가, 10원이 부가세로 납부)이 아니라 업종에 따라 일반 과세자가 납부할 부가세의 5%~30%만 납부하게 됩니다. 소매업의 경우는 부가가치율이 10%입니다. 예를 들어 110원 짜리를 팔게 될 때 납부할 부가가치세는 110원*10%*10%(부가가치율)인 1.1원만 납부하게 됩니다.다만 간이과세자는 1년의 공급대가가 3천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면제됩니다. 소규모매출액자라 봐준다는 것이죠. 2. 만약에 부가세를 내야한다면... 구매자에게 별도로 요구할수 있나요?? 질문자께서 구매자에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만, 위의 예시 금액에 보시듯이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는 아주 작습니다. 판매가액의 0.5%~3%입니다. 요구하신다면 저만큼의 금액을 요구하셔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세금·세무 /
종합소득세
20.02.07
0
0
10945
10946
10947
10948
10949
10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