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누가 인증을 해주나요?그리고 그 기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수라는 이름을 달게 해주는 국가기관은 없습니다.가수는 시험을 치루고 합격하는 것이 아니며 그러니까 사단법인등 가수협회에서 가수라는 회원증을 주는 것입니다.물론 전국 노래자랑 연말 결선때 주는 가수에게 주는 것 역시 가수 협회에서 주는 것입니다.가수는 가수협회가 아니라고 해도 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8.24
0
0
우리나라의 최초의 궁은 언제 지어 졌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악궁(安鶴宮)입니다장수왕 15년(427)에 평양으로 천도하면서 건축한 궁궐 입니다지금까지 밝혀진 바로는 한국에 있었던 궁궐 중에서는 가장 면적이 넓으며, 단일 건축물의 면적도 최대 수준 입니다.
학문 /
역사
23.08.24
0
0
조선시대 화폐의 기준은 어떻게 나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렇습니다.10푼이 1전입니다조선시대 화폐 중 상평통보 화폐단위 참조상평통보의 가치(어림치)1푼 - 현재 200원1전 - 현재 2000원1냥 - 현재 20,000원1관 - 현재 200,000원 이렇게 화폐의 단위순서 입니다
학문 /
역사
23.08.24
0
0
국가총동원법은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38년 4월에 일제가 인적·물적 자원의 총동원을 위해 제정·공포한 전시통제의 기본법 입니다전문 50조와 부칙으로 되어되어습니다. 1938년 4월 1일에 공포되어 그 해 5월 5일부터 일본에서 시행되었습니다. 조선에서는 ‘국가총동원법을 조선·대만 및 화태(樺太 : 사할린)에 시행하는 건’에 의하여 같은 날 이 법이 의용 되었습니다이 법에서 국가총동원이라 함은 전시 또는 전쟁에 준할 사변의 경우에 이른바 국방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의 모든 힘을 가장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인적·물적 자원을 통제, 운용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4
0
0
과거 장수들이 사용하던 갑옷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갑옷은 철판을 얇게 펴서 물고기 비늘처럼 촘촘히 연결한스케일메일(비늘갑옷 입니다).또는 헝겁 갑옷도 있었습니다.장군들이 입는 갑옷중에는 비단에 무명, 기타 4겹정도는 껴입으면 무게는 25Kg을 넘어갑니다. 병사들의 갑옷도 무겁기는 마찬가지였는데 무거워 안입는 병사들이 늘었다고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4
0
0
연려실기술은 어떤 책인지 알려주세요.
우리나라에서의 ‘야사(野史)’ 개념은 중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지방관에 의해 편찬된 지방사”를 의미했지만 16세기 이후 사림(士林)이 중앙 정계를 장악하면서 그 의미가 점차 변화했는데 그 시대적 배경으로는,① 관료의 입장에서 정무 수행과 정책 결정에 참고할 만한 국조고사(國朝故事)에 대한 자료가 필요했고,② ‘조선’이 장기 존속하면서 왕조사의 총괄적인 정리라고 할 수 있는 ‘정사(正史)’ 편찬의 기회가 거의 없어 일반인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조선시대 정치사에 대한 개설서가 필요했으며,③ 18세기 ‘실학(實學)’의 대두로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을 새로이 하는 문화운동의 일환이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아래 ‘야사’의 개념도 시대에 따라 점차 변화했는데 16세기에는,① 사관(史官)의 사초(史草)와 달리 재야의 사림이 직접 견문한 것을 기록한 소설ㆍ수필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바뀌었고, 18세기(영ㆍ정조) 이후 통사(通史)ㆍ총서(叢書) 형식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② <실록(實錄)>ㆍ<국조보감(國朝寶鑑)> 등의 관찬(官撰) 사서와 대칭되는 개념,③ 사대부ㆍ퇴직 관료의 사찬(私撰) 사서인 동시에 수필ㆍ소설ㆍ잡사(雜史) 종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의미에서 이긍익(李肯翊)이 편찬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은 조선 시대 야사류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체재(體裁)를 살펴보면 크게 “야사의 집성(叢書)을 통한 역사서의 편찬(通史)”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야사들을 모아 일정한 기준 아래 그 자료들을 배열해 하나의 역사서로 편찬한 것입니다. 그리고 <연려실기술>은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를 따르고 있는데, 기존의 야사류가 채택한 편찬 체재를 비판하고 그 사건의 인과관계를 확실히 밝히기 위한 선택입니다. 그리고 이긍익은 크게 4가지 기준 아래 <연려실기술>을 편찬했는데 그 4가지 기준은,① 술이부작(述而不作) : 기록할 뿐 지어내지 않는다.② 거실수록(據實收錄) : 사실에 근거해 기사(記事)를 수록한다.③ 직서(直書) : 수록된 인물의 호(號)ㆍ자(字) 대신에 실제 이름을 기록한다.④ 전거제시(典據提示) : 인용된 각 항목마다 그 출전(出典)을 명시한다.입니다. 게다가 <연려실기술>은 전체적으로는 기사본말체이면서 전근대 동아시아 왕조 역사서 편찬의 기본인 기전체(紀傳體)의 요소도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읽는 독자들도 이 책의 내용 수정ㆍ편집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는 등, 야사를 집성한 '총서'이면서 이를 일목요연하게 기술한 '역사서'의 성격을 갖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출처정만조(鄭萬祚), 1994, <練藜室記述의 編纂體裁에 대한 再에서 인용하였습니다.질문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왜 우리나라에는 남아선호사상이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서양이 마찬가지 였지만우리나라는 불행하게도 조선시대때 두드러진 유교의 영향입니다.남존여비 사상으로 인하여 여자들이 하대를 받았습니다.가부장적 부계사회 때문 이라 판단 되어 집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세종이 시행한 대리청정은 무엇인가요?
왕세자나 왕세제에 의한 섭정을 말합니다. 국왕이 병환중에 있거나 할 때 왕세자가 아버지 대신 정치를 행하며, 대리청정은 그다지 많이 이루어지는 형태가 아니었습니다. 왕이 교지를 내려 세자로 대리청정을 하겠다 하면 신하들이 몰려들어와 명을 거두어 달라고 울부짖기도 했습니다. 왕세자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조선 5대 임금 문종이 세종이 병들자 세자 대리청정을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세종대왕때 만들어진 측우기의 용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측우기는 길이를 재는 자인 주척(周尺)으로 안지름이 7인치(14.7㎝), 높이 약 1.5척의 원통으로 되어 있는데, 비가 올 때 이 원통을 집 밖에 세워두면 빗물을 받을 수가있습니다. 관상감의 관원이 직접 주척으로 물의 깊이를 측정하여 보고하였으며, 중앙에는 관상감에, 지방에는 각 도의 감영에 설치 하였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8.23
0
0
고려말에서 조선초기 문신 황희는 어떤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이 세워지면서 황희는 고려의 충신들과 관직을 떠났으나, 태조 이성계에 설득으로 성균관 학관에 제수가 되고 이방석의 스승입니다. 74년동안 관직생활을 하며 6조판서부터 영의정까지 조선 최장수 재상으로 재임태조-정종-태종-세종에 이르기까지 4대 임금을 섬기며 왕들의 신임을 받았습니다은퇴를 하고 싶었으나 세종이 은퇴를 반려하여 20년 가까이 관직에서 일을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