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왜 독도는 현재까지도 일본과 영유권 분쟁이 되고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분쟁을 하는것이 아니라 분쟁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말도 안되는것을 계속 일본은 자기영토라고 주장합니다.국제적으로 이슈화를 만드는것입니다.우리도 괜실히 말도 안되는 꼬투리 핑계를 대어 재판을 하는것과 마찬 가지입니다.일본 정말 몹쓸 나라 입니다.
학문 /
역사
23.08.12
0
0
조선시대 사또는 어떤 권력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령은 지방의 장관으로 지금의 기초자치단체급의 장이라서 제목대로 시장(광역시장 제외) 군수와 구청장과(자치구를 말함)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해당 고을의 백성들은 '원님'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원님'은 수령을 뜻하는 원(員)을 존칭으로 표현한것입니다.삼권분립이 없었던 시기이니만큼 일반 행정은 물론이고 군사들을 지휘하거나 재판을 총괄하는 등 사실상 그 지방의 모든 일을 도맡아 했다.
학문 /
역사
23.08.12
0
0
조선의 초기,중기,후기의 인구 통계가 확인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초기의 인구수는 약70만명중기는150만명후기는약2천만명 이라고 합니다.임진왜란에 의하여 인구가 많이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12
0
0
조선이 지향했던 학문이 어떻게 성리학이 되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리학은 명종과 선조 때에 이황과 이이 등 뛰어난 학자들의 연구에 힘입어 조선 성리학으로서 독자적인 위치를 굳혔습니다. 그래서 성리학이 기초가 된것입니다.당시의 학자들은 벼슬을 하면서 학문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이들 학자들은 성리학에 너무 열중한 나머지, 성리학만이 옳고 그 밖의 다른 학문은 모두 그르다는 배타적 정신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불교는 물론 같은 유학 계통이지만 흐름이 다른 양명학마저도 배척하였습니다.
학문 /
철학
23.08.12
0
0
도쿠가와가 임진왜란에 출전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참전을 강요하지 못했던 것은 이에야스의 세력이 매우 강성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그러니까 함부로 사지로 내몰지 못했던 것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2
0
0
단군왕검은 사람 이름이 아니고 직위인가요?
단군왕검『삼국사기』「고구려본기」 동천열제 조를 보면 “평양은 본래 선인왕검의 집이다. 혹은 왕의 도읍을 왕험이라 한다[平壤者本仙人王儉之宅也, 或云王之都王險]”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여기서 '선인왕검仙人王儉'은 단군왕검을 뜻합니다. 단군은 제사장의 뜻이고, 왕검은 정치적 군장을 뜻입니다
학문 /
역사
23.08.12
0
0
모차르트가 분변음욕증이라는 변태적인 취향을 가졌을 가능성이 크다라는 티비 방송을 보았는데요.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차르트는 성도착자로 알려져 있습시다. 1992년 영국 의학잡지에 발표된 모차르트는 분변음욕증이라는 제목의 논문에 의하면 모차르트의 편지 371통을 분석한 결과 10.5%에 해당하는 39통에 분변음욕적인 표현이 있다는 것이다. 분변음욕증이란 이성의 분뇨에 심취하여 그 배설물을 보거나 냄새를 맡고 또는 배변하는 것으로서 모차르트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8.12
0
0
불교에서 말하는 돈오점수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돈오는 단박에 깨닫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는 점진적인 수행을 말합니다. 불교 수행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에는 순간적인 깨달음이 필요하고, 그렇게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도 점진적인 수행, 즉 점수는 계속해야 한다는, 선종 불교 수행 방법론입니다.
학문 /
역사
23.08.12
0
0
조선시대 여성들의 헤어스타일은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성의 경우에는 조선 초기에는 얹은 머리가 유행하였으나, 조선 중기로 넘어가면서부터 가체의 사용으로 사치가 심해지면서 가체금지령을 반포하였고, 그 후에 생긴 머리가 저희가 흔히 알고 있는 쪽머리입니다.
학문 /
역사
23.08.12
0
0
조선시대에는 하수처리를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하수처리장이 없었읍니다.그래서 아무데나 변이 있었고 상당히 더러웠습니다.한양에도 똥들이 골목마다 널부러져 있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11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