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문무대왕릉이 바다에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무왕은 삼국통일을 이룬 뒤 자신의 시신을 불교식으로 화장해 유골을 동해에 안장하면 용이 되어 불법을 떠받들고 나라를 지키겠다고 유언하고 재위 21년에 사망했습니다. 신문왕은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장사했다고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4.04.12
0
0
사자성어 염량세태란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염량세태 라는 사자성어는 권세가 있으면 아첨하고, 몰락하면 냉대하는 세상의 인심을 이르는 말 입니다.
학문 /
역사
24.04.09
0
0
조선시대 때 일어난 주요 전쟁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주요 전쟁으로는 대마도 정벌, 임진왜란, 정유재란, 정묘호란, 병자호란, 나선정벌, 병인양요, 신미양요가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9
0
0
불교의 사성제는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성제는 사제라고도 하는데 십이인연과 연관해 고, 집, 멸, 도로 구성된 불교 교리 입니다.인생의 모든 문제와 그 해결방법에 대한 네가지의 근본 진리를 말하며 제는 진리, 진실을 뜻하고 그러한 진리가 신성한 것이라 하여 사성제 또는 사진제 라 합니다.불교의 실천적 원리를 나타내는 불타 교설의 대강으로 고제, 집제, 멸제, 도제, 네 가지의 진리를 말합니다.
학문 /
철학
24.04.08
0
0
거란 장수 소배압은 어떤 인물인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배압은 거란족 출신의 요라나 장군입니다.요 경종의 사위이자 소손녕의 형인 소배압은 서북 방면의 몽골족 정벌에 공을 세웠고 986년 하북으로 진격해 온 송군을 격파하는 공을 세운 후 남경통군사, 동정사문하평장사, 동경유수 등을 역임했고 1004년 성종이 허베이 방면으로 친정할 때 전방의 총 지휘를 담당했습니다.1010년 성종이 고려 정벌을 시작했을 때 휘하의 사령관으로 들어와 이듬해 1월 한때 고려의 수도인 개경을 점령, 1018년 12월 10만 대군을 거느리고 침입했다가 이듬해인 1019년 2월 평안도 귀주에서 고려의 강감찬에게 대패하고 본국에 돌아가 파면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8
0
0
철학에서 밀레토스 학파는 어떤 곳에 가치를 두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밀레토스 학파는 자연을 운동변화 속에 있는 물질로 파악하고 그 근원을 이루는 실체를 각각 물, 무규정성, 공기 라고 하고 이 실체가 스스로 운동변화하여 만물이 생성한다고 말하는데 이 견해는 자연을 신화적이 아니라 자연 그 자체에 내재하는 보편적인 활동원리로부터 통일적으로 설명하며 종교적인 세계관에서 탈피한 유물론적 자연철학을 성립시켰습니다.
학문 /
철학
24.04.05
0
0
당나라의 빈공과는 어떤 시험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빈공과는 당나라의 과거 제도로 외국인에게 시험을 치르게 해 관리로 선발하는 제도였습니다.당나라는 다른 나라 사람에게도 관직을 개방할 정도로 국제적인 성격을 띠었는데 빈공과에 발해와 신라 사람들이 시험을 치러 문화적 우월 경쟁을 했습니다. 8세기 초 당과 발해는 발해의 장문휴가 산둥 반도를 공격하는 등 대립적이었으나 9세기 빈공과에 발해인이 시험을 치르고 당의 3성 6부를 모방해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등 우호적인 관계로 개선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식목일은 왜 이제 빨간날이 아니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담뱃불로 인한 실화로 추정되는 2005년 양양 산불에 낙산사가 전소되고 동종이 소실되는 사건이 일어났고 이 무렵 노무현 정부가 주 5일 근무제도를 공공기관부터 보급하자 그 반동으로 생산성 저하를 우려로 공휴일을 줄이자는 움직임이 생겨나서 이와 맞물려 제헌절과 함께 2006년부로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젓가락은 언제부터 사용이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쌀을 주식으로 삼는 식문화권에 맞추어 만들어지고 사용해온 것으로 오래 된 도구이기 때문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기원은 확실하지 않습니다.젓가락과 관련된 가장 오랜 기록은 중국에서 진나라가 멸망한 뒤 한나라와 초나라가 전쟁을 치를 때인데 역이기가 6국의 왕을 봉해 봉건제를 부활시키자는 제안을 하자 장량은 유방이 밥을 먹던 젓가락을 빼앗아 분지르며 그 계책의 문제점을 설명했다고 하며, 이보다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상나라의 왕 주왕이 상아로 젓가락을 만들었다는 고사를 한비자가 전하기도 했습니다.우리나라는 최소 삼국시대부터 젓가락과 숟가락을 함께 사용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어째서 중국과 일본은 온돌이 없는데 우리나라만 온돌문화가 발달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겨울철 매우 추운 기후를 가지고 있었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보면 바닥에 앉거나 , 바닥에서 식사를 하는 것이 일상적이었습니다.이에 바닥이 따뜻해야 편한 식사를 할수 있었고, 침대 대신 바닥에 누워 자는 생활을 했기 때문에 온돌 문화가 발달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