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관서팔경에는 어떤 명승지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서팔경은 관서지방에 경치가 뛰어난 8곳으로 강계의 인풍루, 의주의 통군정, 선천의 동림폭, 안주의 백상루, 평양의 연광정, 성천의 강선루, 만포의 세검정, 영변의 약산동대 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우리 국악에서 거문고와 가야금은 어떻게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의 수가 대표적으로 다릅니다.가야금은 줄 수가 12개, 거문고는 6개 이며, 연주법은 가야금의 경우 손으로 직접 튕겨 소리를 내고 거문고는 술대를 이용해 줄을 치며 연주합니다.
학문 /
음악
23.07.21
0
0
우리의 민속문화재에 속하는 씨름경기의 시작과 유래는 어떻게 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씨름은 우리나라의 고유 운동입니다.고구려 시대 고분 주 각저총의 씨름도 벽화에서 알수 있듯 역사가 유구한 놀이이자 스포츠로 한국의 전통 무술이라 할만한 것들 중 태껸과 함께 씨름이 현대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씨름은 상고시대부터 시작된 경기로 형성과정은 알수없으나 주로 각저, 각희 , 상박으로 불렸으며 15세기 이후 실훔, 실홈으로 불리다 씨름이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21
0
0
을미사변때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과 왕세자가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아관파천이 왜 일어난 것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95년 10월 8일 을미사변으로 조선 국민의 대일감정이 악화되고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전국이 소란해지자 러시아 공사 베베르는 공사관 보호라는 명목으로 수병 백명을 서울로 데려옵니다. 이에 친러파인 이범진 등은 베베르와 공모하여 건양 1년 2월 11일 국왕의 거처를 궁궐로부터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겼습니다.당시 러시아 공사관은 조선과 가까웠고, 외국인 지역으로 외부인 출입이 가능, 또한 당시 국제적인 권력의 하나로 안정을 유지하는데 있어 최선의 선택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조선시대 박인수라는 사람은 노비출신의 학자가 있다는데, 어떻게 노비의 신분으로 학자가 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비 신분으로 한때 중이 되고자 불경을 공붛ㅆ지만 박지화의 학문에 감화되었고 김근공에게 소학, 대학을 비롯한 많은 유교경전을 배웠습니다.박인수는 일반적인 노비들과 달리 어려서부터 학자의 길을 걸었고, 나름 재산이 있던 노비였음으로 추정합니다.덕분에 학자로 상당한 명성을 얻게 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많은 양반층 제자를 거느렸다고 합니다.당시 외거노비는 주인에게 할 도리만 다 하면 자신의 꿈을 이룰수 있는 존재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복날에 삼계탕을 먹게 된 유래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복날에 삼계탕을 먹는 문화는 1960년대 이후 와서 정착되었습니다.삼계탕의 시작은 일제강점기 시절 부자집들이 닭백숙이나 닭국에 백삼가루를 넣어 만들면서 시작, 이것이 1940년대 후반 식당에서 파는 경우가 늘어났고 1950년대 전후로 계삼탕이라는 별개의 요리로 정착되었습니다.처음 인삼가루를 사용하였으나 1960년대 이후 냉장고의 보급으로 인삼의 장기보존화가 가능해지면서 인삼을 말린 것을 넣는 것으로 바뀌었고 현재의 삼계탕으로 불리게 된것은 1960년대 즈음입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삼국시대 문무왕이 자신의 무덤을 바다에 만들도록 지시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무왕은 삼국 통일 후 자신의 시신을 불교식으로 화장해 유골을 동해에 안장하면 용이 되어 침입해 들어오는 왜구를 막겠다고 유언했고, 이에 신문왕은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장사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0
0
0
최악의 친일파인 윤덕영이라는 인물은 어떠한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문신, 본관은 해평, 영돈령부사 철구의 아들이자 택영의 형 , 순정효 황후의 삼촌 입니다.1894년 진사로 문과에 급제, 이듬해 비서감 우비서랑이 되고 총리 대신 비서관 겸 참서관, 시독관, 비서승, 농상공부 참서관, 내부지방국장 등을 역임, 1901년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습니다. 이어 궁내부 특진관을 거쳐 황해도 관찰사로 전임했다가 이듬해 철도원 부총재가 되어 경부선의 철도부설에 공을 세운 후 지예아문 부총재, 봉상사제조, 비서원경, 의정부참찬, 홍문관학사 겸 평리원 재판장, 의정부찬성을 지냈으며 1908년 시종원경이 되고 1910년 국권 침탈 때 순종에게 강요하여 병자 수호 조약에 옥새를 찍게 했으며 일본 정부에 의해 자작이 되고 이왕직 찬시를 지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0
0
0
찰리 채플린은 생활이 문란하다고 공격당했다는데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혼 소송이 진행되는 중인 1927년 미국정부는 100만달러 이상의 탈세 혐의로 채플린을 기소한적이 있고, 위대한 독재자 작품으로 제 2차 세계대전에 관여하지 않으려한 미국 정부로 부터 찍히게 되었습니다. 또 공산주의자로 몰리기도했습니다.그는 여러 여성을 만나기도 했지만 , 여성 대다수의 나이가 10대 중후반이었기 때문에 사생활의 문란함이나 상대 여성들의 어린 나이로 비난을 받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0
0
0
조선시대 효종의 죽음은 독살이라는 말이 있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효종은 의료사고로 사망했습니다. 당시 효종의 얼굴에 난 종기의 치료를 놓고 침으로 피를 빼내어 독기를 제거하자는 신가귀와 머리에 경솔히 침을 놓을수없다는 유후성의 의견이 갈렸고 이에 효종이 신가귀의 의견을 취하여 침을 놓았는데 침구멍에서 농즙이 나온후 검붉은 피가 쏟아져 왕이 이제 정신이 좀 든다, 가귀가 아니면 큰일 날 뻔했다 라고 하였으나 정작 큰일은 다음날이었는데, 신가귀의 수전증으로 인해 침이 혈락을 범하여 검붉은 피가 멈추지 않고 계속 쏟아져 나왔고 신가귀를 비롯한 어의들이 필사적으로 지혈을 시도하지만 지혈되지 않았으며, 승정원 일기를 보면 당시의 급박한 상황이 기록되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20
0
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