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려 말기 만들어진 화통도감은 어떠한 성격의 기관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통도감은 고려 말 설치된 화약 및 화기 제조를 담당하는 기관입니다.1377년 최무선의 건의에 따라 설립되었고 1389년 폐지되었습니다. 로켓형 무기인 주화, 신호용 대포인 신포를 비롯해 18종의 화약 무기를 개발했습니다.고려의 무신 최무선은 중국 강남의 상인 이원으로부터 화약 제조법을 배웠고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의 제조에 성공 후 그 효력을 시험하고 여러 차례 조정에 건의한 후 화통도감이 설치되었습니다.화통도감은 화약을 제조하고 각종 화기, 즉 대장군, 삼장군, 이장군, 육화석포, 화포, 신포, 화통, 화전, 철령전, 피령전, 질려포, 철탄자, 천산오룡전, 유화, 주화, 촉천화 등을 만들었습니다.이 때 만들어진 화포들은 당시 삼남지역에 출몰하여 약탈을 일삼던 왜구를 물리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고려시대 직지심체요절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직지는 고려의 승려 백운이 부처와 스님들의 말씀, 대화, 편지 등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 만든 책으로 당시 승려들이 수행하거나 공부할때 교과서로 사용했습니다.직지는 1377년 백운의 제자들이 청주 흥덕사에서 스승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직지를 상, 하 2권으로 엮어 금속 활자로 만들었습니다.
학문 /
미술
23.07.12
0
0
조선시대의 호패법이 처음 실시된 것은 언제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패는 일종의 민증으로 왕권의 강화를 위해 태종 때 처음 시행했다가 한동한 폐지하고 세조 때 다시 부활했으며 그 후로 폐지와 부활을 반복하다가 숙종 대 이후 정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조선 초기 설치되어진 주자소는 어떠한 성격의 기관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자소는 조선시대 금속 활자를 만들고 인쇄를 담당하던 기관입니다.1403년 처음 설립되었고 여러 차례 이름과 관할 부서가 바뀌었지만 대한제국 말까지 운영되었습니다.주자소의 주요 역할은 활자를 만들고 관리하며 서적을 출간하는 것으로 순조시기 만들어진 주자소응행절목에는 주자소가 관리하고 있는 활자의 종류, 수량, 출판한 책의 현황 등이 기록되어있습니다.주자소는 왕실에 필요한 책 뿐만 아니라 여러 서적을 출간해 판매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의열단장 김원봉 의사는 같은 곳에서 2시간 이상 머물 지 않았다고 하던데, 그러면 잠도 제대로 못주무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복 후 우익의 백색테러를 피하기 위해 같은 장소에서 2시간 이상 머물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잠은 제대로 잤을까 싶을 정도며 그의 정신력을 알수 있는 대목이기도 합니다.많은 돈을 현상금으로 걸었지만 김원봉은 일제에게 단 한번도 붙잡힌 적이 없던 인물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인류가 동물을 사냥하기 시작했을 때, 어떤 사냥법으로 동물을 잡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대로 된 도구를 쓰지 않던 초기 인류는 그냥 맨몸으로 쫓아가 사냥했고 이는 매우 위험하고 힘들기 때문에 문명화 이후로는 대부분 총, 활, 창, 덫 등의 도구와 개, 매 처럼 훈련 시킨 짐승을 사용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유럽의 합스부르크 왕가는 오랜동안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비결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합스부르크가문은 결혼을 통해 동맹을 다져 전쟁을 피하는 방식으로 가문을 번영시켰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도교가 전래된 것은 어느 시대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로 도교가 전래된 첫 기록은 기원후 624년 고구려 영류왕 7년 때 입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영류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도교가 들어올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을 요청하였는데 당나라에서는 천존상, 도법과 함께 도사를 파견했고 파견된 도사는 노자의 도법을 강의하였는데 영류왕과 수천명의 고구려인들이 강의를 들었고 이듬해 625년 고구려에서 학인들이 당나라로 파견되어 불교과 도교의 교법을 배웠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고려시대 존재했던 노비 안검법은 어떠한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초기 광종 때 양인이었다가 노비가 된 사람을 조사해 다시 양인이 될 수 있도록 조처한 법 입니다.당시 호족은 후삼국의 와중에서 전쟁 포로가 되었거나 빚을 갚지 못했거나 그 밖의 강제적인 방법으로 양인에서 노비가 된 사람들을 많이 소유했는데 이러한 노비는 호족이 소유한 토지와 함께 그들의 경제적, 군사적 기반이 되었고 이는 국가의 입장에서 볼때 왕권을 위협하는 것이므로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918년 태조는 노비가 된 양인 가운데 1200명을 방면시켰고 후에도 이러한 노력을 계속했지만 호족의 반발로 제대로 성공하지 못했습니다.이에 956년 광종은 노비의 안검을 명령하고 억울하게 노비가 된 양인을 회복시켰는데 이것은 호족에게 귀속되던 세를 국가에 환원시키고 호족의 사병을 감소시킴으로써 호족의 약화와 왕권의 강화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고려시대 화약이 개발된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화약 개발사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로 등장한 폭발물인 화약은 중국의 기록상 의사 손사막이 발명했다고 하며 수양제 시절 폭죽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즈음에 화약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손사막 이전에도 화약으로 추정되는 기록들이 있다고 하나 정확하지 않습니다.송대 편찬된 구국지에 904년 당이 예장을 공격할 때 비화를 썼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처음 군사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당나라 말기로 보이며, 이후 오대십국시대에도 몇몇 화기들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만 본격적인 군사용으로의 사용은 북송대로 추정합니다.송사에 의하면 서기 1000년 당복이라는 장수가 화전, 화질려, 초기 폭약의 일종인 화구 등의 무기를 발명했다는 기록이 있고, 1040년 수도 카이펑에 화약공장이 세워졌다고 하며 1044년 편찬된 무경총요에 초기 형태의 화기인 화창이나 화전, 맹화유궤, 화구 등이 등장하며 12세기 경에 비로소 사천에서 발견된 조각상에서 최초의 화포가 등장합니다. 중국에서 발명된 화약 무기가 중동과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지로 퍼진 이유는 당시 영토 확장을 하며 세계 각지에서 전쟁하던 몽골제국이 적극적으로 화약 무기를 활용했기 때문입니다.이후 유럽에서 전장식 화포나 머스킷 등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었고 19세기 말 무연화약과 강선 등이 개선된 소총, 화포가 등장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2
0
0
955
956
957
958
959
960
961
962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