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퇴직 의사 통보 이후 퇴직 효력 발생일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회사 사규에 따리는게 원칙이나 그게 없다면 민법 660조를 따르게 되고, 민법 660조의 원칙대로 설명하자면 한 달보다 더 걸립니다.근로자가 사직서를 제출(퇴직 의사 통보)했으나, 사용자가 이를 수리하지 않거나 별도의 계약 종료 시점에 관한 특약(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이 없는 경우, 민법 제660조에 따라 퇴직 효력이 발생합니다퇴직 효력 발생 시점은 월급제처럼 임금이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경우 다음과 같습니다민법 제660조 제3항에 따라, 사용자가 근로자의 퇴직 의사 통고를 받은 당기(사직서 제출 월) 후의 1임금 지급기가 경과한 때에 퇴직의 효력이 발생합니다.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면 임금 산정 기간이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급여일이 익월 5일인 경우를 가정합니다4월 10일 사직서 제출 → 4월 임금 지급기(5월 5일) 경과5월 1일부터 31일까지의 임금 지급 기간이 끝나는 6월 1일에 퇴직 효력 발생이 발생합니다그래서 1,2 다 틀렸습니다3번은 별개의 사항입니다4번은 다른 회사들도 의례 다 합니다퇴직할 때에 경업금지약정이라고 하여 경쟁사 취업을 일정기간 금지하는 약정을 체결하곤 합니다경쟁력 유무보다는 사내에서 취득한 정보의 활용이 문제됩니다이것은 부정경쟁방지법에 따라서도 규율받을 수 있는 사항입니다5번도 앞선 설명으로 대체합니다
Q. 대만의 치어리더가 높은 급여나 인정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대만에서 치어리더는 단순한 경기 응원단을 넘어, 아이돌이나 연예인에 준하는 인기를 누립니다. 실제로 지하철 광고, 굿즈 매장, TV 광고 등 다양한 미디어와 오프라인 공간에서 치어리더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이로 인해 치어리더 개인의 브랜드 가치가 크게 올라가고, 광고·방송·SNS 등 다양한 부가 수입원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활동하던 이다혜 치어리더는 대만 진출 후 코카콜라 등 12개 광고를 찍으며 연예인급 활동을 펼쳤습니다.대만 프로야구 구단은 치어리더를 외주나 파트타임 계약이 아닌, 연예기획사처럼 직접 고용합니다. 구단이 치어리더의 행사, 광고, 굿즈 판매 등 다양한 부가사업을 직접 관리하고, 수익을 치어리더와 나누는 구조입니다.이 때문에 구단은 치어리더의 스타성을 적극적으로 키우고, 그에 걸맞은 높은 급여와 계약금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주은 치어리더는 대만 푸본 엔젤스와 계약하며 약 4억 4천만 원의 계약금을 받았고, 연봉 역시 한국보다 최소 5~20배 이상 높을 것으로 추정됩니다.대만에서는 치어리딩이 스포츠 문화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고, 야구 자체가 국민적 인기를 누리는 스포츠입니다. 이에 따라 치어리더의 위상과 시장 규모도 큽니다.반면, 한국은 치어리더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치어리더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이로 인해 처우와 급여 모두 제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