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김의균 전문가
논현재활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운동을 너무 안하면 키가 안크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어느정도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성장 호르몬은 운동 및 활동량 수면 그리고 영양섭취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뼈의 기계적인 자극이 없으면 성장판이 자극을 받지 못해 성장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활동이 부족하면 혈액순환이 둔해져 영양과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또한 운동 부족은 근육량 감소로 이어지고 근력이 약해지면 척추와 다리가 받는 부담이 증가 되면서 척추나 다리 뼈가 눌려서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그렇기에 가벼운 스트레칭 및 매일 30분이상 걷기 및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충분한 햇볕을 쬐주셔서 비타민 D가 잘 합성 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등산 내려올때 무릎통증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등산 내려 올때 무릎에 통증이 있다면 무릎 연골이나 인대 주변 근육의 약화로 인한 통증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는 검사를 받아봐야 알 수 있지만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으로는, 슬개대퇴통증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도 있고 또는 무릎 안쪽 또는 전체적으로 둔한 통증이 있다면 연골이 닳거나 약해지면서 충격 흡수가 어려우면서 발생하는 연골 손상을 의심해 볼 수도 있습니다.또는 무릎이 흔들리거나 불안정한 느낌이 든다면 무릎 인대의 약화나 허벅지 앞쪽 근육이 약하면 무릎이 더 많은 충격을 받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고 일단 충분한 휴식 및 냉찜질 보호대 착용을 통한 관절의 보호 및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부종을 감소 시켜주시면 좋을 것 같고, 통증이 조금 경감 되시면 허벅지 대퇴사두근 및 엉덩이 둔근에 대한 운동을 해주시면 좋은데 벽 스쿼트나 힙 브릿지 계단을 뒤로 오르기 등의 운동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그렇지만 혹시라도 통증이 오랫동안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발이 파란데 무슨병을 의심해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등과 발바닥이 갑자기 파래 보이는 경우 혈액순환의 장애와 관련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말초혈관의 질환 문제로 인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발이 파랗게 보이거나 창백해 보일 수 있고 혹은 하지 정맥류 수술을 한 적이 있다면 정맥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혈전이 생겼을 가능성도 있고 또는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발이 푸르게 변하는 청색증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그 밖에도 손가락 발가락이 찬 환경에서 급격히 창백해지거나 파래지는 레이노 병이나 당뇨가 있으시다면 말초혈관이 약해지면서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고 혹시라도 발가락 끝이 검게 변하거나 통증이 심하고 감각이 둔해진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허리디스크 및 오스굿슐라터 스트레칭 자세 질문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디스크와 오스굿슐라터가 있는 경우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할때 허리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자세가 중요합니다.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아래쪽 다리는 쭉 펴고 위쪽 다리를 뒤로 접어 허벅지 앞쪽에 대한 스트레칭을 해주시고, 무릎 주변 근육을 늘리기 위해 나비자세등을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허리의 안정성을 키워주기 위해서 코어근육 운동을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브릿지나 플랭크, 데드버그등의 운동을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찌릿찌릿하고 따끔하게 느껴지는 어깨 통증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왼쪽 날개뼈 주변의 통증 및 뻐근함 느낌 및 찌릿한 통증이 있으시다면 신경이나 근육에 더 큰 부담이 가해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근육의 과긴장이나 근막 통증 증후군에 의해서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고 또는 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디스크 초기 증상일 가능성도 존재하며 혹은 견갑골 주변의 염증이나 갈비뼈 혹은 척추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찌릿한 신경통이 어깨와 팔 손까지 내려오거나 쉬어도 통증이 심하고 자세를 바꿔도 통증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정확한 상태 파악을 위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키는 모계유전이 강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키의 유전적인 영향은 부모의 양쪽 반반씩 물려 받지만 어떤 유전자가 강하게 발현될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일부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키가 자녀의 키 예측에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하는 연구도 있고, 반반씩 영향을 준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80%이상 영향을 준다는 것은 별로 동의하지는 않으며 반반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발 250이 200까지 줄이려면 얼마나 수술을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일반적으로 발 크기를 줄이는 수술은 가능하나 많이 시행하지 않으며 발가락 및 발등 뼈를 줄이는 수술은 심각한 기능 손상 및 제대로 걷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후유증으로 통증 및 관절염 감각의 이상 등의 위험이 높습니다.일반적으로 별로 추천하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전문의 선생님과 상담 가져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골연령이 만으로 몇세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엑스레이 사진 한장으로는 정확한 골 연령의 평가가 어려울 뿐더러 정확한 수치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일반적인 기준은 따로 없습니다.보통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는 골연령이 만 나이보다 더 낮거나 높을 수 있고 이는 성장 속도에 따라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정확한 평가를 원하신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상처 베인지는 일주일 됐는데 언제쯤 저 검은 색 부분이 없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상처가 검게 보이는 것은 딱지 또는 괴사된 조직일 가능성이 크며 일반적으로 검은 딱지는 떨어지는데 1~2주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상처가 깊으면 그보다 더 오래 지속되기도 합니다. 또한 개인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그렇지만 검은 부분이 점점 커지거나 붉게 부어오르거나 통증이 심해진다면 감염의 가능성도 있으니 그럴 경우 즉시 병원에 방문하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붙여놓은 스테리 스트립은 자연스럽게 떨어지는게 가장 좋으며 보통 7일 정도 지나면 알아서 떨어지고 떨어지면 연고와 일반 밴드를 통해 보호해주시면 좋습니다.물 같은 경우 이틀 정도만 안 닿게 잘 피해주시면 좋고, 이 후에는 깨끗한 물 정도는 닿아도 크게 무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물에 담그거나 뜨거운 물은 피해주시고 씻고 나신 후에는 잘 건조 시켜주시는게 좋습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엄지손가락 마디?튀어나온 부분 통증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 증상으로 보았을 때 손가락 과사용으로 인한 건초염 혹은 손가락에 생기는 혹 같은 결절종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건초염은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힘줄과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눌렀을 때 통증이 있고 움직이면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부어오르고 뻣뻣해질 가능성이 존재 합니다.결절종은 관절이나 힘줄 주변에 생기는 젤처럼 말랑하거나 딱딱한 혹으로 손으로 만졌을 때 안에 뭔가 들어 있는 느낌이 있고, 보통에는 통증이 없지만 압박되거나 신경을 건드리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혹은 미세한 골절 또는 타박상을 의심해 볼 수도 있습니다.일단 집에서 하실 수 있는 조치로는 손가락 사용을 최대한 줄여 주시고 차가운 찜질 및 진통 소염제등을 드셔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그렇지만 통증이 오랫동안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496
497
498
499
5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