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유무역지역에서 관세유보는 왜 해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자유무역지역은 외국인 투자 유치, 무역의 진흥, 국제물류 원활화 등을 목적으로 관세법, 대외무역법에 대한 특례가 적용되어 물품의 자유로운 제조·물류․유통 및 무역 활동이 보장되는 지역으로, 현재 마산, 부산항 등 총 13개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자유무역지역으로 수입한 물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유보하지만 해당 지역이 아닌 국내로 반입시에는 관세 등을 납부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해당 지역은 여러 혜택을 부여하는 등 일종의 특구 형식이므로 외국인 투자를 이끌면서 물류 역할 강화 등의 목적으로 혜택이 부여되는 것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우리나라가 자유무역협정을 채결한 중동국가는 어디어디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는 21개국가와 FTA가 발효되어 운영중에 있지만 아직 중동국가는 발효된적은 없습니다. 다만, 최근에 아랍에미리트(UAE)와 GCC(사우디,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UAE)와 각각 FTA가 타결되었으므로 양국 국회 비준동의를 통해 발효된다면 활용할 수 있을것이며 빠르면 내년쯤에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미국과 호주,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쇠고기의 관세는 몇퍼센트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HS 0201호에 분류되는 신선 및 냉장한 소고기의 경우 미국, 호주, 캐나다와는 FTA가 체결되어 2024년 기준으로 미국은 5.3%, 캐나다는 13.3%, 호주는 10.6%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세 국가 중에서 미국과는 FTA가 체결된지 가장 오래되었기 때문에 협정세율이 가장 낮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관세가 인하되는 만큼 소비가격에 반영되므로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여지지만 수입물품의 가격에는 현지 인건비와 물류비도 반영되는 부분도 있으므로 최근 물가상승 부분도 어느정도 감안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물론 한우와의 가격 격차는 상당할 것으로 보여집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