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

미국과 호주,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쇠고기의 관세는 몇퍼센트인지요?

미국에서 수입되는 쇠고기의 관세가 2026년에 첼폐되고 호주와 캐나다산도 곧 뒤를 이어 철폐 될 것이라고 하는데 현재는 몇 퍼센트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지요? 현재도 수입 쇠고기의 가격이 저렴한데 관세까지 철폐되면 상대적으로 우리 한우의 경쟁력은 더 떨어질 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신선·냉장한 쇠고기(HS 0201) 및 냉동 쇠고기(HS 0202)는 MFN 관세율 40%가 부과됩니다.

    미국에서 수입되는 경우, 한-미 FTA 적용 시 5.3%(342,000 메트릭톤 초과 시 24%)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인 뼈없는 쇠고기의 경우에 고나세율은 아래와 같으며, 다른 국가에서 수입되는 관세보다 낮게 fta 협정관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현재도 관세가 많이 낮아진 상태지만 한우의 경우에는 맛과 품질 등 브랜드 화로 인하여 경쟁력이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는 현재 소고기에 대하여 40%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데, FTA 적용이 이루어지면 더 낮은 관세율 적용이 가능합니다.

    미국의 경우 5.3%, 기타 (342,000메트릭톤 초과)의 경우 24%의 관세가 부과되지만 2027년이 되면 관세는 0%가 됩니다.

    호주는 10.6% 또는 기타 (188,437메트릭톤 초과)의 경우 24%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뉴질랜드는 13.3% 또는 기타 (44,218메트릭톤 초과)의 경우 30%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HS 0201호에 분류되는 신선 및 냉장한 소고기의 경우 미국, 호주, 캐나다와는 FTA가 체결되어 2024년 기준으로 미국은 5.3%, 캐나다는 13.3%, 호주는 10.6%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세 국가 중에서 미국과는 FTA가 체결된지 가장 오래되었기 때문에 협정세율이 가장 낮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관세가 인하되는 만큼 소비가격에 반영되므로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여지지만 수입물품의 가격에는 현지 인건비와 물류비도 반영되는 부분도 있으므로 최근 물가상승 부분도 어느정도 감안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물론 한우와의 가격 격차는 상당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소고기에 대한 관세는 기본관세 기준으로 30%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다만, 할당물량의 경우에는 보다 낮은 관세율로 수입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말씀하신대로 이러한 관세가 폐지되면 수입산 소고기의 경쟁력이 더욱 올라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존에 수입 쇠고기에 부과되던 관세는 40%였으나, 2012년 3월 미국을 시작으로 호주, 캐나다 등과의 연이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인해 수입 관세가 매년 낮아지고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미국산 쇠고기의 관세는 13.3%, 호주산 쇠고기의 관세는 18.6%까지 낮아졌습니다.감사합니다.

  • 소고기는 상태 등에 따라 신선, 냉장, 냉동, 염장, 건조 등으로 구분됩니다.

    신선, 냉동 소고기는 기본세율 30%이며, FTA적용 시 미국산은 5.3%(24% : 342,000메트릭톤 초과 시), 호주산은 10.6%(24% : 188,437메트릭톤 초과 시) 캐나다산은 13.3%(30% : 23,185메트릭톤 초과 시)입니다.

    건조하거나 훈제한 소고기는 기본세율 27%, 미국산은 3.6%, 호주산은 7.2%, 캐나다산은 27%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