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김지훈 전문가
이지정형외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5년 5월 4일 작성 됨
Q.
무릎 십자 파열 반 금이 가서 수술을 했는데 왜 구부러지지 않아는건가요 ? 수술이 못된 건가요?다시 수술을 하자고 합니다 다시 받아도괜찮은 건가요? 왜 이런 증상이 생기는 건가요?괜찮까요?
무릎이 구부러지지 않는 이유는 수술 후 유착, 강직, 재활 부족 또는 구조적 문제일 수 있습니다. 십자인대 이식이 잘못되었거나 관절 내 흉터 조직이 생기면 움직임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보통 구조적 문제나 기능 회복을 위한 조치로, 재수술 후에도 철저한 재활이 중요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4일 작성 됨
Q.
셀프 자세교정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양반다리 습관은 골반 비대칭과 근육 불균형을 유발해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다리를 펴고 앉을 때 통증이 생긴다면 이미 자세 불균형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어요. 브리지, 고관절 스트레칭, 캣카우 자세 같은 운동과 바른 의자 앉기 습관으로 교정할 수 있습니다. 지속 시 전문 진료를 권합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4일 작성 됨
Q.
고깃집에서 일하다가 손가락 살이 좀 깊게 베어서 바로 물로 씻고 지혈하고 약바르고 했는데 통증이 계속 있어서요
살이 벌어진 깊은 상처는 감염, 신경·힘줄 손상, 봉합 필요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하므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자가 처치만으로는 흉터나 기능 이상 위험이 있어, 정확한 검진과 치료를 받아야 안전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3일 작성 됨
Q.
정장 입을 때 힐을 7cm 정도 힐을 신습니다. 저녁에 집에 오면 허리도 아프고 발이 붓던데, 높은 구두 오래 신으면 척추에 변형이 오나요?
높은 신발을 오래 신으면 발목, 무릎, 허리, 척추까지 무리가 갈 수 있어요.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리면서 자세가 틀어지고, 허리에 과한 부담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종아리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되고, 발바닥 아치도 손상될 수 있어요. 가능하면 낮은 굽과 교대로 착용하며 휴식도 꼭 주세요.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3일 작성 됨
Q.
양반다리와 쭉 다리 펴서 앉는거 어떤게 더 안좋나요?
양반다리는 무릎과 고관절에 부담을 주고, 다리 펴기는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어요.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한 자세로 오래 있기보단 주기적으로 자세를 바꿔주는 것이 허리와 무릎 모두에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3일 작성 됨
Q.
목디스크 수술환자 풀리오 목어깨마사지기 괜찮을까요?
수술 직후엔 자극이 위험할 수 있어요. 의사 상담 후 사용 여부 결정하세요. 무자극 온열패드나 편한 베개도 좋은 대안이에요. 목디스크는 회복에 시간이 걸리므로, 마사지기보단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선물이 더 적절할 수 있어요. 가벼운 산책용 지팡이나 자세 보조용 쿠션도 추천드려요.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3일 작성 됨
Q.
거북목이나 허리 굽움은 물리치료를 통해 완치가 가능한가요?
자세 불균형은 초기에 물리치료와 스트레칭, 근력운동으로 개선 가능해요. 꾸준히 하면 수술 없이도 회복될 수 있어요. 일상 자세 교정과 생활 습관 변화도 함께 병행해야 효과가 커집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3일 작성 됨
Q.
목하고 쇄골.!.!.!.!.!..!
목젖을 보이게 하려면 목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도움이 돼요. 예를 들어, 목을 길게 늘리는 스트레칭이나 목 근육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운동(예: 목 굴곡 운동)을 해보세요. 쇄골을 보이게 하려면 어깨를 낮추고, 상체를 앞으로 숙이면서 쇄골을 강조하는 자세를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3일 작성 됨
Q.
축구하고 난 후 허리통증 어떡해야하나요?
허리 통증은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근육 피로일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보다는 휴식과 온찜질이 우선이며, 통증이 계속되면 병원 방문을 권장합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3일 작성 됨
Q.
슬개골 골절 수술 후 무릎 척수반사 처럼 튀어오르는 증상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수술 후 일시적 신경 반사나 근육 경련일 수 있으며, 드물지 않은 현상입니다. 통증이 심해지거나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