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안노무법인 수석노무사 김호병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안노무법인 수석노무사 김호병입니다.
김호병 전문가
정안 노무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퇴직금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1주 소정근로시간 15시간 이상으로서 1년 이상 근무한 경우 퇴직금이 발생합니다.퇴직사유와 관계 없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퇴직금=평균임금×30×근속일수÷365
해고·징계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임신 중인 직원에게 해고를 통보하는 것은 불법인가요? 어떤 법적 보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임신을 이유로 해고하는 것은 부당해고에 해당합니다. 임신사실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해고한 경우라면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고사유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해고·징계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회사에서 퇴사를 요구하는 경우, 노동자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근로자가 해고당한 경우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상시근로자수 5명 이상인 경우에 한함).
임금·급여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빨간날로 넘어가는 날 시급 적용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휴일 다음날 출근시간 전까지는 휴일근로가 계속된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가산수당이 발생합니다.
산업재해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업무중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하면 산재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업무 수행 중 동료의 잘못으로 부상을 당한 경우 산재처리 가능합니다.피해배상청구할 경우 금액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근로계약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대체계약직 기간 만료 전 전임자가 복직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계약기간이 남아 있다면 전임자가 복직한다고 하더라도 남은 기간까지 근무하겠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임금·급여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알바 근로계약서를 썼는데 시급이 9620원이네요...이건 웬 생뚱맞은 숫자죠?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시급 9,620원이라고 기재되어 있다면 세금 공제 전 금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법 미달이므로 수정을 요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노무상담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회사에서 재계약건으로 연락이 아직 없는데 재계약 된다고 봐도 되겠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회사의 재계약 방안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 회사에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근로계약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1달 이내로 알바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처음부터 1달 정도 근로하겠다고 말하는 것이 나중에 분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임금·급여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건축 일하던 곳에서 사장님이 돌아가셨다고 돈을 못받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65세 실업급여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퇴직일 이전 1년 내에 60일 이상 임금체불로 인해 퇴직한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 65세 이전에 입사했다면 65세 이후에 퇴직 하더라도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부여될 수 있습니다.
426
427
428
429
4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