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실손보험은 가입할때 어떤부분을 고려해야하죠?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실손의료보험은 실제 발생한 의료비를 한도로 보상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의 실손의료보험을 가입하여도 보험금을 나누어 지급하게 됩니다. 또한 단체 실손의료보험을 중복 가입한 경우에도 비례보상하기 때문에 보험계약자는 시 다른 실손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중복 가입되어 있다면 납입중지제도를 통해서 1년 계약이 지난 개인실손의료보험과 단체실손의료보험 중에 하나를 납입중지 신청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외모개선 목적 성형수술비, 간병비, 진단서 발급비용 등 약관상 보장하지 않는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약관에서 잘 확인하고 실손의료보험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외에도 소비자가 놓치기 쉬운 보상항목을 살펴봐야 합니다. 치료목적의 의사약처방으로 미용목적 등 약관상 보상하지 않는 사항인지, 치료목적상 임상적 소견을 받아 검사한 비용인지 등을 살펴봐야 하고요. 그리고 생명보험협회, 실손보험협회에서 회사별 실손보험 보험료 수준을 비교해봐야 하고요. 2세대 표준화2차 실손보험부터 4세대 실손보험 가입자까지는 가입기간이 지나면 재가입 시점에 판매되던 세대 실손보험 상품으로 가입해야 하기 때문에 재가입시점에 보장범위 및 자기부담금 등이 변경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그리고 4세대 실손보험에서 비급여 이용할인 혜택이 있다는 점, 의료급여 수급권자 자격요건을 갖춘 경우 할인제도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요. 통원의료비 청구 간소화 제도가 있다는 점, 연령 증가, 손해율 변동에 따른 보험료 인상 등을 확인해두고요. 그리고 실손은 단독형과 특약형이 있는데요. 특약형의 경우에는 사망, 후유장해 등 다른 항목을 보장해서 단독형 실손의료 보험 대비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런 점을 잘 감안해서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Q. 무거운걸 옮기다가 삐끗해서 병원 다니고 있는대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U23은 한의학에서 분류하는 질병코드로 중풍, 후유증, 진전, 비증이 포함되는 것으로 후유증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S134는 상해의 일종인 경추의 염좌 및 긴장이기 때문에 일반상해의료비 받는데 감액되거나 보상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적혀 있어도 문제없습니다. S134는 자동차사고로 인한 목의 충격,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외상,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의 부하, 나쁜 자세로 인한 만성적인 긴장등의 원인으로 목의 어깨의 통증 및 뻐근함, 머리 뒤쪽과 어깨로 이어지는 통증, 어지럼증 및 두통, 목을 돌리기 힘든 불편감 등의 증상이 있는 상해로 봅니다. 병원에서 진단서 및 진료비 세부내역서를 발급받고 진료비 영수증과 함께 보험사에 일반 상해 의료비 청구 접수를 하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