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7월 8일 작성 됨
Q.
견우와 직녀 이야기가 나오게된 시대적 배경은 언제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한국 민족문화 대사전에 따르면설화의 발생 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중국 후한(後漢기원후 25년~220년) 때에 만들어진 효당산(孝堂山)의 석실 속에 있는 화상석(畫像石)의 삼족오도(三足烏圖)에 직녀성과 견우성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최소한 그때 이전에 만들어 졌을 것이라고 합니다정확한 창작 시기조차 알 수 없는 만큼 정확한 창작 의도는 누구도 알 수 없지만내용의 발전은 최소 3단계를 예상할 수 있는데초기 견우/직녀 관련 기록들에는 애틋한 사랑이야기는 커녕 그냥 놀고먹는 고위층을 향한 비꼼이 더 많았다그러나 의인화가 되었기 때문에 둘의 이별을 슬퍼하는 묘사가 나타나기 시작한다이미 있던 칠석일 제사에 둘의 만남을 기원하는 행사가 추가되면서 오작교 설화가 완성된다정도로 정리 됩니다이런 이야기들이 만들어지는 이유는고대엔 모든 자연현상이 신으로 모셔졌기 때문에 별또한 자연스럽게 신격화/인격화되었으며태풍/지진 같은 자연재해는 강한만큼 높게 모셔졌지만 그만큼 드문 현상이라 친근하지 않았으나고개만 들면 바로 보이는 별은 매우 가깝게 느껴졌기 떄문에당시 흔하던 인격(남자=농사 여자=잠상의 성별별 분업)이 붙여졌으며고금동서 언제나 인기 있는 사랑이야기가 잘 섞였기 때문에 현대까지 전해질 수 있었다라고 할 수 있구요
문학
2024년 7월 7일 작성 됨
Q.
박제가 된 천재 이상 왜 그렇게 불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해당 구절이 나온 소설인 [날개]는기둥서방(현대어로 퐁퐁남)으로 사는 실패한 글쟁이의 무기력한 일상을 담고 있습니다날개는 본인의 사적인 경험을 바탕으로한 사소설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으니그정도면 박제라고 느낄만 하지 않을까요
문학
2024년 7월 7일 작성 됨
Q.
<흥부전>은 유교사상을 비판하는 전래동화였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처음부터 유교를 비판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진 거냐는 질문인가요? 전혀 아닙니다인의예지가 충실히 담겨있는 내용이기 때문이죠형제의 우애=부모님 편함=효 라고 해석하면 효까지 포함되죠한참 뒤에 사상이 완전히 바뀐 현대사람이 읽으니까그런식의 "해석"이 가능할 뿐입니다
문학
2024년 7월 4일 작성 됨
Q.
인류최초의 소설은 어떤 작품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소설의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글자로 기록된 창작이야기" 이라면 기원전 2천년으로 추정되는 길가메시 서사시"모든 내용이 완전히 남아있는 이야기"라면 로마시대의 황금당나귀"등장인물의 내면묘사등의 형식이 갖춰진 이야기"라면 일본의 겐지모노가타리등등
문학
2024년 7월 4일 작성 됨
Q.
황진이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시조가 있다던데 어떤시조인가요?
1549(명종 4)∼1587(선조20). 조선 중기의 시인. 임제의 시조가 제일 확실하고 유명합니다 청초(靑草)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엇난다. 홍안(紅顔)을 어듸 두고 백골(白骨)만 무쳣나니. 잔(盞) 잡아 권(勸)하리 업스니 그를 슬허하노라.
문학
2024년 7월 3일 작성 됨
Q.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에 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그리스 로마 신화는 이름 그대로 그리스와 로마 각각의 신화가 합쳐진 것입니다아프로디테는 그리스 신화쪽 이름이고 비너스가 로마쪽 이름이죠로마가 그리스를 침략해 점령했을때그리스 문화가 생각보다 대단해서 자기네 문화랑 잘 섞어서 써먹으려고"니네 xx신은 사실 우리네 yy신인데 이름만 다른 것이다"같은 식으로 비슷한 신끼리 섞은 것입니다
문학
2024년 7월 2일 작성 됨
Q.
시조는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시조가 만들어 진 것은 몇백년전 일 이기 때문에정확한 등장 시기는 물론 '시조'라는 명칭의 정확한 유래조차 아무도 모릅니다인터넷도 있고 누구나 돈만내면 책을 만들 수 있는 현대가 아니니까요소실된 자료도 많고, 애초에 문학사 같은 분야는 없던 시기라서전세계적으로 그런 유래는 확실한게 없습니다다만, 고려말~조선 초기에 현재 전해지는 형식이 정착되었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문학
2024년 7월 2일 작성 됨
Q.
용비어천가의 내용은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용비어천가는 조선시대, 세종대왕님이 왕권 강화 겸 훈민정음을 알리기 위해 만든 책입니다여기서 용은 임금을 뜻하며제목 전체는 용이 날아서 하늘을 다스린다는 뜻입니다아직 건국 된지 얼마 되지 않은 조선 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알리기 위해서옛 고사들 중 좋은 것들과그 고사와 같은 일을 한 선대 왕들의 이야기를 같이 보여주는 내용입니다
문학
2024년 7월 1일 작성 됨
Q.
불교에서 말하는 싯다르다 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그건 부처님 본명입니다부처님은 고대 인도왕국의 왕자였으며그때 이름이 고타마 싯다르타 (Siddhārtha Gautama)이 싯다르타를 한자로 읽은게 석가모니(釋迦牟尼) 죠참고로원래 불교에서 부처는 일종의 경지 같은 거라서여러 부처님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부처님이라 하면 불교의 창시자, 세존여래 석가모니를 뜻합니다그래서 석가탄신일=부처님오신날 인거죠
문학
2024년 7월 1일 작성 됨
Q.
계시록의 144000의 숫자는 무엇을 의미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144는 12의 제곱이며이스라엘 지파(부족)수가 12지파 였기 때문에그 제곱인 144에 그냥 많아보이게 0 여러개 붙여서하느님을 섬기는 모든 백성이란 뜻으로 만든 숫자라는게 정설입니다모든 지파(12) × 모든 땅(12) × 모든 백성(1,000) = 완전한 복음(144,000) 이라는 거죠왜 유대인 지파가 기독교해석에서 나오나면기독교란건 좀더 개방적으로 개조한 유대교에서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