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의 내용은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권력 앞에서 아부하는 모습을 보면 용비어천가 부른다라고 하던데요~ 용비어천가의 내용은 어떤 내용이 담겨져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시대, 세종대왕님이 왕권 강화 겸 훈민정음을 알리기 위해 만든 책입니다
여기서 용은 임금을 뜻하며
제목 전체는 용이 날아서 하늘을 다스린다는 뜻입니다
아직 건국 된지 얼마 되지 않은 조선 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알리기 위해서
옛 고사들 중 좋은 것들과
그 고사와 같은 일을 한 선대 왕들의 이야기를 같이 보여주는 내용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이에 해당 합니다. 목판본이며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445년에 노래의 본문과 한시가 만들어졌고, 역사적 사실을 한문으로 기록한 글이 1447년에 완성되어 간행되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27년(1445) 편찬되어 세종 29년(1447)에 발간된 악장, 서사시입니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뒤 훈민정음을 시험하기 위해 권제와 정인지, 안지 등에게 맡겨 펴낸 책입니다. 조선 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선전학고 찬양하는 내용이 주로 나타납니다. 각 장은 대체로 중국의 고사가 나온 뒤 그 고사와 비슷한 세종의 6대조부터의 일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대로 와서는 정권 찬양을 빗대어 말할 때 '용비어천가를 쓴다.' 또는 '용비어천가를 부른다.' 라고 이야기합니다. 민주주의 국가인 오늘날의 대한민국에서 용비어천가라는 용어를 쓰는 것은 어떤 행동이 왕이 존재하는 전제군주정에서나 볼 수 있는 무언가이다 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로 권제, 정인지, 안지 등이 125장의 노래로 조선왕조의 선대를 칭송하여 세종이 기뻐하며 용비어천가라 이름지었다 합니다. 이후에 박팽년, 강희안, 신숙주, 이현로, 성삼문, 이개, 신영손 등에게 주해를 붙여 10권의 책으로 펴내게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조선왕조를 칭송하는 글을 쓴 학자들을 비꼬아서 비판하며, 나온 이야기가 누군가에게 아부하고 살살거리는 모습을 보고 '용비어천가 부른다'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용비어천가의 내용은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과 같습니다.
(1~2장) 해동 여섯 용이 날아 일마다 하늘이 주신 복이니, 옛 성인들의 고사와 일치한다하고 모든 일은 반드시 그 이유가 있음을 물과 나무에 비유
(3∼8장) 시조인 목조부터 환조에 이르기까지 조상의 행적을 노래한 것으로 천명이 있다고 강조
(9∼14장)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회군과 한양천도에 대한 내용으로 위화도회군으로 민심이 태조에게 있었으나 왕권을 욕심내지 않고 고려왕조를 지키려 노력하였으나 나라 사정이 좋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왕위에 오른 정당성 강조
(15~26장) 고려초기부터 이씨 왕조의 도래가 예견되어있었고, 목조, 익조, 도조, 환조를 거치면서 그것이 더욱 선명해졌음을 확인
(27∼46장) 태조 이성계의 비범한 모습과 재주와 하늘의 도움을 받은 신기한 기적을 설명
(47∼62장) 태조 이성계가 무공과 덕이 있음을 강조
(63∼85장) 태조 이성계의 신궁에 가까운 실력과 학문과 인품 칭송
(86∼89장) 태조 이성계의 신력과 신무와 신공에 대한 칭송
(90∼109장) 태종 이방원의 인물됨, 인품 그리고 하늘의 도움, 그 부인의 내조의 공에 대해 칭송
(110∼125장) 후대 임금들을 경계하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