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엄마의 뜻대로 강압적으로 무언가 시켜놓으면, 도움이 되는게 맞는걸까요?
아이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부모의 강압에 의해 뭔가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지 궁금한가봅니다. 단기적으로는 일정한 성과를 낼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큽니다. 내적 동기 저하, 스트레스와 반감, 자존감 저하, 표면적인 성과단 부모가 꾸준히 함께 해주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준다면 아이가 점차 익숙해지고 습관을 들일 수 있습니다. 처음엔 흥미가 없었지만, 반복적인 노출을 통해 흥미를 느끼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Q. 21개월 아기가 손에 쥘 수 있는 장난감을 쥐고 놀다가 짜증내고 반복해요
21개월 아기가 손에 쥘 수 있는 장난감을 쥐고 놀다가 짜증을 반복하는 행동을 보이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감정 표현일 수가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율성과 표현 욕구가 커지지만 아직 언어와 감정조절 능력은 미숙하기 때문에 좌절이나 불만을 짜증으로 드러낼 수 있습니다. 의사 표현의 어려움, 자율성 발달, 감각 과부하 또는 피로, 치아가 나는 중, 분리불안 또는 환경 변화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모는아이의 감정을 읽어주고 기다려줍니다. 그리고 다른 장난감이나 활동으로 자연스럽게 관심을 돌려봅니다. 이때 일관된 반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칭찬과 공감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Q. 10살 아이가 자율적으로 공부 습관을 들이기 위한 교육방법은?
10세 아이의 자율적 공부 습관을 들이기 위한 교육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자기주도학습을 키우기 위한 핵심 전략은학습 목표 설정하기, 선택권 주기, 성공 경험 쌓기, 실패도 학습의 일부로 받아들이기('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까?'), 성장 마인드셋 기르기, 자기 점검 습관 만들기, 환경 조성하기 등입니다.자기주도학습능력은 단순히 공부를 잘하는 것을 넘어 스스로 배우고 성장하는 힘을 길러주는 일입니다.아기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서 집중력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상생활에서 독서 습관을 길러준다면 아이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잠들기 전에 책을 읽어주고 도서관에 가서 책도 읽고 대출을 해오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아이의 집중력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집중을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보기 전에 아이의 생활패턴을 체크해야 합니다.아이가 좋아하는 놀이가 무엇인지를 관찰해보면 아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를 할 때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합니다.아이와 작은 약속을 했더라도 잘 지켜주세요.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선택권과 책임을 아이에게 부여해줍니다.아이에게 건강한 신체리듬을 만들어주세요.(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집안 환경을 차분한 느낌으로 정돈해주세요.(아이가 공부할 때 TV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