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육아휴직는 얼마나 사용할수있는지 궁금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육아휴직은 자녀가 만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일 때 신청 가능, 초등학교 2학년이 끝나기 전까지 언제든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 급여는 통상적으로 첫 3개월은 통상임금의80%, 4~12개월 통상임금의 50%를 받습니다. 필요한 서류는육아휴직 신청서 (사업장 제출),육아휴직 확인서, 통상임금 확인 자료, 가족관계증명서, 본인 계좌 사본입니다.
Q. 30개월 폭력적인 언어 쓰는 아이 도와주세요
아이가 폭력적인 언어를 사용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상황을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아무래도 미디어나 또래의 영향이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상상력이 풍부해지는 시기이기 떄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 아이의 발달 특성 상 언어가 빠른 아이는 감정도 말로 풀어냅니다.상상력과 현실의 경계가 흐릿한 시기, 고집과 통제력은 자기주도성의 발달 과정으로 보면 되겠습니다.부모는 아이 감정에 이름을 붙여줍니다. 공격적인 표현은 다시 말하기를 유도합니다. 이럴 때는 '엄마 미워'라고 말해볼까?(독침 가져올거야)예고와 선택권 주기, 공격 행동은 단호하게 경계하기 등이 필요합니다.자기 감정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강한 시기예요. 이걸 억누르기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Q. 딸아이가 엄마만 유독 좋아하는 경우도 많나요?
엄마와의 강한 애착은 그 기초가 되지만, 그 안에는 아이의 정서 발달, 감정 조절 능력 그리고 자아 형성 과정까지 복합적으로 얽혀 있습니다. 아이가 엄마에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안정형 애착의 특징, 감정 조절 능력이 아직 미성숙한 시기, 불안정 저항형 애착의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도와주기 위해서는 감정에 공감하고 이름 붙여주기, 일관된 반응과 예측 가능한 환경 제공, 아이의 감정 독립성 키우기 등입니다.
Q. 아이에게 조건을 거는것, 어떤 경우에만 긍정적으로 보일까요?
보상은 아이의 행동을 유도하고 습관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일 수는 있지만,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독이 돌 수도 있습니다. 지양해야 할 방식은행동보다 결과에만 보상할 때, 항상 외적 보상만 줄 때, 협박성 조건 걸기, 일관성 없는 보상 등입니다. 건강한 보상 활용법은과정 중심 보상, 내적 동기와 연결, 자율성 부여, 점진적 보상 줄이기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