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들에게 운동은 취미 생활 정도로 괜찮은것 아닐까요?
아이들에게 운동을 취미로 즐기게 하는 것이 괜찮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단순한 건강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기술까지 키울 수 있어 다방면의 장점이 있습니다. 건강한 신체발달,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 안정, 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 사회성 발달, 목표 설정과 성취감 경험 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Q. 요즘들어서 아이가 자꾸 제가 하는 말에 토를 달고 말대답을 합니다.
아이가 양육자의 훈육에 말대답을 하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말대답은 단순히 반항이라기보다는 자기 표현의 한 방식일 수 있습니다. 훈육 중 말대답이 나올 때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은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아이의 내면 메시지를 읽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감정에 반응하지 않고 태도에 대응하기, 아이의 감정에 공감하기, 규칙과 기대치를 명확히 하기, 잠시 멈추는 전략 사용하기, 훈육 후 돌아보기 시간 갖기 등입니다.
Q. 공부보다, 운동에 흥미있는 아이는 어떻게 진로를 정해주는게 좋은건가요?
아이가 공부보다 운동에 더 흥미를 느낄 때 어떻게 진로를 정하는 것이 좋은지가 궁금한가봅니다. 아이의 흥미와 재능을 파악하고 스포츠 진로의 다양한 길 탐색하기, 학업과 병행하는 계획 세우기(운동 진료를 목표로 하더라도 기초 학업은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선택을 존중하는 분위기 만들기, 진로 설계 도와주는 활동 추천 등이 있습니다. 먼저 아이가 어떤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분야로 진로를 정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전문선수, 스포츠 지도자, 스포츠 관련 직업, 체육교사/공무원, 체육학 연구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