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반장이, 선생님 대행으로 역할을 하면, 선생님과 같은 권한으로 존중해줘야 하는게 맞나요?
반장이 선생님 부재시 그 역할을 대행할 때 어디까지 존중해줘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질서 유지, 간단한 지시 전달, 청소나 정리 활동 주도, 친구들 간 갈등 중재, 모범 행동 등이 반장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개성이 뚜렷해지는 초등 고학년에서는 리더십보다 협업 능력이 더 중요하게 작용해요. 반장이 친구들을 통제하려 하기보다, 함께 지켜야 할 규칙을 상기시키고, 모범을 보이는 역할을 하도록 도와주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초3 논술공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초등학교 3학년 아이의 논술 공부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책을 깊게 읽을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은질문을 던지며 읽기, 감상문 대신 '한 줄 요약'부터 시작하기, 책 속 인물과 대화하기 등으로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등 논술을 집에서 시작한다면일기>감상문>주장하는 글 순서, 토론 놀이 활용하기, 하브루타식 질문법 등을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초등 논술 입문서, 사회 이슈 기반 교재, 글쓰기 훈련서 등을 참고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Q. 아이의 '떼쓰는 행동' 속에 숨겨진 메시지는 진짜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이들의 떼 쓰는 행동에 숨겨진 메시지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떼를 쓸 때는 막무가내이기 때문에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떼를 쓰는 주요 원인은의사소통의 한계, 좌절감, 감정 조절 미숙, 피곤함/배고픔, 관심 끌기, 모방 등입니다.
Q. 아이의 '숨겨진 마음'을 알아주는 부모가 되려면 어떻게 아이에게 다가서야 되나요?
아이의 숨겨진 마음을 알아주는 부모가 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아이와의 끊임없는 소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속마음을 읽는 비언어적 신호들을 캐치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표정과 눈빛, 몸짓과 자세, 놀이 행동, 목소리 톤과 말의 속도, 일상 속 작은 변화 등입니다. 감정 라벨링, 비언어적 공감, 선택지를 제시하기, 기다려주는 인내심, 일관된 행동 등 민감하게 반응하는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