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정된 학교이 무조건 다녀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모든 육아맘들이 고민하는 교육문제
학교 배정은 첫 사회생활에 입성하는것 만큼 중요한 문제
학교 배정에 위치는 기본으로 깔려있지만
맞벌이 부모의 직장 위치라 고려되지 않는지
한끗차이로 가까운 초등학교보다 더 멀리에 있는 학교로 등하원을 해야하는 현실이 너무 불공평하다 생각
아이를 키우면서 돈도 벌어야 하니 사회에선
아이를 키우는 환경을 더 적극적으로 개선해줘야 하는것 아닌가
직장에서도 멀고 집에서도 멀고
그런 학교에 무조건적으로 배정받아야 하는가
학교를 이런저런 사정으로 변경할 수는 없는지
아이를 배정된 학교에 무조건 다녀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학교 변경은 가능하지만 조건과 절차가 까다롭습니다.
학기중 전학은 학교장 승인이 필요하며, 방학 중 전학은 자동 처리가 가능합니다.
교육청에 사유서 및 증빙 자료를 제출하고 예외 신청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순히 '멀어서 불편하다'는 이유만으로는 변경이 어렵고,
건강 안정상의 이유나 특수 상황이 있어야 예외 배정이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학교가 집과 거리가 먼 경우 라면 전학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우선은 학교과 가정의 거리가 멀다 라는 증거 자료를 제시하여
학군지가 배정이 부당함을 잘 전달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부분은 교육청 및 학교 측에 잘 전달하여 전학신청을 해야만 합니다.
그러나 단순 거리가 멀다 라는 이유로 전학사유는 어렵기 때문에 학교 및 교육청의 문의를 하여
자세한 부분을 알아보고 처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배정은 원칙적으로 거주지 주소지를 기준으로 하지만, 일부 예외 사유에 따라 학군 조정이나 전학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까다로운 심사와 증빙이 필요하며, 무조건 원하는 학교로 변경되지 않습니다. 현실적 어려움이 크다면 교육지원청에 상담해 전학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게 가장 확실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학교 배정은 거주지기준이나 통학거리와 형제자매 재학여부 등 기준에 따라 배정되고 있습니다. 만약 배정된 학교에 대해 여러 조건에 따라 불공평을 느낀다면 해당 지역교육지원청에 배정 사유를 문의하시고 국민신문고 또는 교육청에 이의신청이나 민원을 제기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정된 학교가 타당한 이유로 다른학교로 배정된 사례도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교육지원청 담당자에게 문의하는 것이 도움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무조건 배정된 학교에만 입학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전학 및 학교 변경은 일정한 사유와 절차에 따라 가능하지만, 맞벌이 사정만으로는 반드시 승인 받는 것은 아닙니다. 학군지의 중, 고등학교진학을 위해 위장전입을 하는 경우가 많아 단속을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