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아이에게 조건을 거는것, 어떤 경우에만 긍정적으로 보일까요?

아이에게 어떤 조건을 걸고,무엇을 하면 무엇을 해줄께. 무엇을 하면. 무엇을 하지 못해. 이런식으로 조건을 걸어서 보상을 활용하는게 무조건 안좋다고 볼 수는 없는듯 싶은데 어떤 경우만 지양하면 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보상은 아이의 행동을 유도하고 습관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일 수는 있지만,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독이 돌 수도 있습니다.

    지양해야 할 방식은

    행동보다 결과에만 보상할 때, 항상 외적 보상만 줄 때, 협박성 조건 걸기, 일관성 없는 보상 등입니다.

    건강한 보상 활용법은

    과정 중심 보상, 내적 동기와 연결, 자율성 부여, 점진적 보상 줄이기 등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조건을 거는 보상은 아이에게는 당연시가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자기가 한 행동에 대한 보상이 없다 라면 왜 보상이 없는지에 대한 불만을 표출 하게 되는 부분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아이에게 조건적인 보상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에게 보상을 주고 싶다 라면 아이가 자기가 해야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그 노력에 대한 부분을 정말 잘 수행했을 대 칭찬 이라는 보상을 해주세요.

    리액션을 크게 해주면서 "우리 00 잘했어" 라는 말을 전달해 주면서 아이를 안아주거나, 아이의 등을 토닥여 주거나,

    아이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스킨십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에게 칭찬 스티커를 붙여주는 보상을 해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조건부 보상은 목표 행동이 명확하고, 단기적 학습이나 안전, 규칙 준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숙제 끝내면 간식 허용, 안전벨트 착용 시 놀이 가능 등. 하지만 지속적, 습관적 행동에만 조건을 걸면 아이가 내적 동기보다 보상만 쫒게 되어 자율성발달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건을 거는 방식은 아이가 규칙을 배우거나, 목표를 이해할 때에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사랑이나 관심 자체를 조건으로 걸게 되면, 아이에게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

    보상은 내적인 동기를 돕는 보조 수단으로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존재 가치와 감정을 조건화하지 않는 경우에만 안전하게 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상은 아이의 적절한 행동 강화와 습관 형성에 사용하되, 아이의 감정과 내적 동기 증진을 함께 고려해야합니다. 그리고 보상보다는 아이 스스로 행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무리한 조건과 보상이 아이의 자율성이나 창의성을 저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것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때는 외적 보상이 없으면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는 부작용이 생기기도 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