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민연금 요새도 조기 수령이 되나요 일하면서도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즉,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0세부터 조기연금 신청 가능✅ 일하면서 조기연금 받을 수 있을까? (소득 제한 여부)✔ 소득이 있으면 조기연금이 일부 정지될 수도 있음!✔ 연금 신청 후에도 "월평균 소득(=A값)"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연금 지급이 정지됨.✔ 2024년 기준, A값이 약 2,974만 원(연 소득 기준) 이상이면 연금 지급이 정지됨✔ 하지만, 65세 이후부터는 소득과 상관없이 연금 전액 지급됨💡 즉, 소득이 많으면 조기연금을 신청해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조기연금의 장단점📌 장점✅ 생활비 마련 가능: 은퇴 후 소득이 없거나 부족할 경우 활용 가능✅ 기대수명이 짧다면 유리: 건강이 좋지 않거나, 오래 살 가능성이 낮다면 조기수령이 유리✅ 연금 개혁 등 미래 불확실성 대비: 향후 연금 제도가 개편될 경우, 미리 받아놓는 게 유리할 수도 있음📌 단점❌ 평생 감액된 연금 수령: 1년 당 6%씩 감액, 최대 5년(30%) 감액됨❌ 소득이 있으면 일부 정지될 수 있음: 일하면서 조기연금 받을 경우 연 소득이 2,974만 원 이상이면 연금이 정지됨❌ 장수할 경우 손해: 오래 살수록 정상연금을 받는 것이 유리함✔ 예시) 원래 100만 원 받을 연금을 조기수령할 경우1년 조기 수령 → 94만 원 (6% 감액)2년 조기 수령 → 88만 원 (12% 감액)3년 조기 수령 → 82만 원 (18% 감액)4년 조기 수령 → 76만 원 (24% 감액)5년 조기 수령 → 70만 원 (30% 감액, 최대 감액 한도)✅ 조기연금 신청, 해야 할까?✔ 조기연금 신청이 유리한 경우:은퇴 후 소득이 없고 생활비가 부족한 경우본인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오래 받을 가능성이 낮을 경우국민연금 제도 변경에 대한 불안감이 있는 경우✔ 조기연금 신청이 불리한 경우:60세 이후에도 계속 일할 계획이며, 일정 소득(약 2,974만 원)이 넘을 경우장수할 가능성이 높고, 정상연금을 받을 여유가 있는 경우연금 감액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손해일 가능성이 높은 경우참고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Q. 타인을위한보험 해지 문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1️⃣ 계약자가 피보험자의 동의 없이 해지할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보험계약의 해지는 계약자의 권한입니다.✔ 즉, 계약자가 피보험자(아버지)의 동의 없이도 해지할 수 있음✔ 다만, 보험 가입 시 피보험자가 동의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해지에도 특정 요건이 필요한 경우가 있음📌 예외적으로 계약자의 단독 해지가 불가능한 경우:✅ 보험 가입 당시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를 경우, 피보험자의 동의가 필요'한 특약이 포함된 경우✅ 종신보험·고액 보장성 보험의 경우, 피보험자의 서면 동의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음💡 따라서, 가입 당시 계약 조건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2️⃣ 재발급된 보험증권으로 전화 통화만으로 해지가 가능한가?보험 해지 절차는 보험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화 해지 가능 여부:보험사마다 다르지만, 고객센터에서 계약자가 본인 확인 후 해지가 가능할 수 있음.다만, 일부 보험사의 경우 해지 시 피보험자의 동의 또는 서류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음.✔ 보험증권 재발급 후 전화 해지 가능 여부:일반적으로 보험증권이 있어야 방문이나 서면 해지가 가능한데,보험사에 따라 재발급된 보험증권이 있으면 전화 해지가 가능하도록 운영하는 곳도 있음.하지만 보험증권 없이 단순 전화만으로 해지가 가능했다면, 절차상 문제가 될 수도 있음.💡 즉, 해당 보험사가 해지 절차를 어떻게 운영하는지가 핵심!➡ 보험사의 공식 해지 절차를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3️⃣ 설계사의 '해지해야 전환 가능' 안내가 적절했는가?실비보험 전환(2세대 → 3세대) 시 종합보험 해지가 필수인지 여부가 중요한데,✔ 실비보험 전환은 기존 보험을 해지하지 않고도 진행할 수 있음✔ 하지만 보험사에 따라 전환 과정에서 특정 조건을 요구할 수도 있음✔ 담당 설계사가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거나, 해지를 강요했다면 보험사에 민원을 제기할 수 있음💡 즉, 당시 실비 전환 과정에서 종합보험 해지가 정말 필수였는지 확인 필요!➡ 해당 보험사에 문의 후, 부당한 해지로 판단될 경우 금융감독원에 민원 제기 가능해당 내용들을 참고해 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Q. 국민연금 조기연금 형식으로 받을수가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조기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은 원래 출생연도에 따라 60~65세부터 수령 가능하지만,✅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면 최대 5년까지 앞당겨(55~60세부터) 받을 수 있음📌 즉, 원래 65세부터 연금을 받을 예정인 사람도 조기연금을 신청하면 60세부터 받을 수 있음!✅ 조기연금 신청 조건📌 가입 기간 10년(120개월) 이상 충족해야 함📌 소득이 없는 상태(연간 소득이 2,974만 원 이하)여야 신청 가능📌 조기연금 신청 가능 연령 (출생연도별 정리)출생연도 정상연금 수령나이 조기연금 신청 가능 나이 1952년 이전60세 55세1953~1956년생 61세 56세1957~1960년생 62세 57세1961~1964년생 63세 58세1965~1968년생 64세 59세1969년 이후 65세 60세✔ 즉, 1969년 이후 출생자는 만 60세부터 조기연금 신청 가능!✅ 조기연금 감액 기준 (얼마나 깎이나?)✔ 조기연금을 신청하면 1년당 6%씩 감액됨✔ 최대 5년(30%)까지 감액됨예시) 원래 연금액이 100만 원이라면?1년 조기 수령 (1년 앞당김) → 94만 원 수령 (6% 감액)2년 조기 수령 (2년 앞당김) → 88만 원 수령 (12% 감액)3년 조기 수령 (3년 앞당김) → 82만 원 수령 (18% 감액)4년 조기 수령 (4년 앞당김) → 76만 원 수령 (24% 감액)5년 조기 수령 (5년 앞당김) → 70만 원 수령 (30% 감액, 최대 감액 한도)조기연금을 신청하게 되면 감액된 금액을 받게 되지만 은퇴후 건강상태, 생활비 필요 여부등을 고려해서 결정해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Q. 사망보험은, 보통 자식들을 위해서 가입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사망보험(생명보험)의 주요 목적가족의 생활 보장사망보험은 남겨진 가족(특히 경제적 의존도가 높은 배우자, 자녀)의 생활비를 보장하는 목적이 큽니다.예를 들어, 가장이 갑자기 사망하면 가족의 생계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사망보험금이 이를 보완해줍니다.상속세 납부 재원 마련상속 재산이 많아 상속세를 내야 하는 경우, 보험금을 활용해 상속세를 부담 없이 납부하는 전략이 있습니다.특히 부동산, 사업체 같은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보유한 경우에는 보험금이 상속세 납부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절세 효과 (상속세 절감 가능)사망보험금 중 일부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법정 상속인의 1인당 5천만 원 + 계약자(피보험자)의 상속재산의 20%까지 비과세"따라서 상속세 절감을 위한 도구로 활용 가능✅ 사망보험 vs. 다른 자산 승계 방법 비교사망보험 상속세 일부 비과세 혜택 / 유동성 확보 (현금 지급)보험료가 비쌈 / 납입 중 해지하면 손해 가능현금 & 적금상속 과정이 간단 / 원금 보장상속세 부과됨 / 오랜 기간 돈 묶임부동산가치 상승 가능성 / 임대 수익 창출상속세 부담 큼 / 유동성이 낮음주식 & 펀드고수익 가능성 / 세제 혜택 가능변동성 높음 / 평가액에 따라 상속세 부담 커질 수 있음사망보험은 상속세 절감을 위한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무조건 유리한 것은 아니므로 본인의 자산 구성과 목적에 따라 조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국민연금은 몇 세 부터 수령이 가능하나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즉, 1969년 이후 출생자는 만 65세부터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2030대(1990년대2000년대생)는 만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조기 연금 & 연기 연금 가능할까?✔ 조기 연금(조기노령연금) → 5년 앞당겨 수령 가능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고, 경제적 사정으로 연금을 빨리 받고 싶다면 만 60세부터 조기 수령 가능다만, 조기 연금 신청 시 1년당 약 6%씩 감액됨✔ 연기 연금 → 더 늦게 받을 수도 있음반대로 연금을 늦게 받으면(최대 70세까지 연기 가능) 1년당 7.2%씩 연금액이 증가✅ 그럼 20~30대는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최근 "국민연금 고갈 논란"이 계속 나오고 있어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현재 기금 고갈 예상 시점은 2055년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고갈"이 되더라도 지급이 중단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연금 지급이 유지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가 연금 개혁을 통해 보험료율을 올리거나, 지급 방식 조정 가능성이 높음📌 고갈 이후에도 세금 또는 국민연금 가입자 부담 증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연금을 지급할 가능성이 큼📌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급액이 조정될 수 있음2030세대라면 만 65세부터 연금수령이 가능하지만 향후 정책 변경 가능성이 있습니다
Q. 개인 퇴직연금(연말정산)관련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1. 퇴직 후 연금으로만 받는 건가요? 한 번에 받을 수도 있나요?퇴직연금(IRP)은 원칙적으로 연금 형태로 받는 게 기본이지만,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일시금(한 번에)으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연금으로 받을 경우만 55세 이후 연금 개시 가능최소 5년 이상 분할 지급(월, 분기, 연 단위 선택 가능)연금소득세(3.3~5.5%) 적용 → 세금이 낮음🔹 일시금으로 받을 경우퇴직 후 바로 IRP에서 한 번에 인출 가능하지만 퇴직소득세(원래 퇴직금 받을 때 냈어야 할 세금) 추가 납부 필요연금소득세(3.3~5.5%)보다 부담이 큼💡 즉, 장기적으로 세금 절약을 원하면 "연금 수령"이 유리하지만, 목돈이 필요하면 일시금도 가능합니다!연금으로 받는 것이 세금절세 방안으로는 유리하지만 일시금으로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Q. 배우자가 현재 국민연금이 600만원이 밀려있고 56세입니다. 지금 시점에 추가납입해서 연금수령을 하는 것이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 수령 요건 & 현재 상황 분석국민연금은 최소 10년(120개월) 이상 납부해야 수령 가능배우자가 56세이고, 현재 국민연금 납부 기간이 10년이 안 된다면, 추가 납부가 필요합니다.만약 10년 미만 납부 후 수령 연령(만 63~65세)이 되었을 때도 가입 기간이 부족하면, 연금이 아니라 "일시금(일시반환금)"으로 받게 됩니다.추가 납부(추납) 가능 여부밀린 600만 원(체납분)은 납부가 가능하지만, 연금 가입 기간을 늘리려면 "추가납입(추납)" 제도를 활용해야 합니다.추납은 예전에 소득이 없어서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못한 기간을 인정받아 추가 납부하는 방식입니다.단, 10년을 채우기 위해서는 "추납 가능 기간"을 확인해야 합니다.✅ 추가 납부(추납) vs. 나중에 일시금 수령✔ 추납 후 연금 수령이 유리한 경우연금 수령 연령까지 10년(120개월)을 채울 수 있다면 무조건 연금으로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국민연금은 "내가 낸 돈 대비 받을 수 있는 금액이 훨씬 많은 구조"입니다.현재 물가상승률을 고려할 때, 국민연금이 지급 중단될 가능성보다는 지급 방식이 변경될 가능성이 더 크므로, 수령 자격을 만들어 두는 것이 유리합니다.예를 들어, 추가 납부로 10년을 채우면, 매달 30~50만 원 이상의 연금을 받을 수도 있음 (납부 금액 대비 혜택 큼)✔ 일시금(일시반환금)으로 받는 게 나은 경우만약 10년을 채울 수 없는 경우, 결국 연금이 아닌 "일시금"으로 받게 됩니다.이 경우, 소득이 필요하거나 연금 수령액이 적다면 일시금이 더 유리할 수도 있음하지만, 일시금은 낸 돈 대비 이자가 거의 없기 때문에, 웬만하면 연금으로 받을 수 있게 맞추는 게 좋습니다.✅ 결론 & 추천 전략여윳돈이 있다면 밀린 600만 원을 납부하고, "추납"을 활용해 10년을 채우는 것이 가장 유리국민연금공단(국번 없이 1355)에 문의하여 "추납 가능 기간"과 "예상 연금액"을 먼저 확인연금이 아닌 일시금 수령은 낸 돈 대비 이득이 적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음국민연금 고갈 이슈는 있지만, 기존 가입자의 연금은 지급될 가능성이 높음 (미래 세대가 문제일 가능성이 큼)참고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Q. 도수 치료 받을 때 실비 보험 청구되나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도수치료 실손보험 청구 가능 여부도수치료는 원칙적으로 실손보험에서 보장됩니다. 하지만 보험사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고, 최근에는 일부 제한이 생겼습니다.1세대 실손보험 (2009년 이전 가입자)거의 모든 의료비(도수치료 포함)가 90%~100% 보장됩니다.자기부담금이 거의 없어 혜택이 가장 큽니다.23세대 실손보험 (20092021년 가입자)도수치료 보장이 가능하지만 연간 횟수 제한(보통 50회 이내)이 있습니다.의사 처방전 필수자기부담금이 20~30% 정도 있습니다.4세대 실손보험 (2021년 7월 이후 가입자)도수치료는 여전히 보장되지만, 자기부담금이 30%~50%로 증가연간 350만 원 한도 & 급여 비급여 분리실손 보험료 할인이 가능하지만 보험금 청구가 많으면 할증 적용🔥 "1세대 실손보험 → 5세대 전환" 소문은 사실?현재 1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는 자동으로 5세대(혹은 4세대)로 전환되지 않습니다.다만, 보험사에서 갱신 시 전환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보험료가 많이 올라서 4세대 실손(갱신형)으로 전환하는 분들이 있긴 합니다.하지만 1세대 실손이 보장 범위가 훨씬 넓고 유리하기 때문에 전환 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하세요.참고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Q. 20대에 보험 넣을때 아까운 보험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1. 무리한 저축성 보험 (연금보험, 변액보험 등)20대는 자산을 적극적으로 불려야 할 시기이므로 투자성이 강한 변액보험이나 연금보험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대신, ETF, 주식, IRP(개인형 퇴직연금) 같은 투자 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2. 불필요한 특약이 많은 실손보험실손보험은 필수적인 보험이지만, 치과 치료, 한방 치료, 비급여 특약 등은 추가 비용만 발생시키고 실제 혜택은 적을 수 있습니다.자신에게 필요한 보장 범위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 자동차 보험 (자차 보험 과다 가입)자차 보험(자기차량손해)은 차량 가치가 낮거나 중고차일 경우, 굳이 높은 보장을 가입할 필요가 없습니다.보험료가 비싸므로, 차량 가치를 고려해 자차 특약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4. 실효성 낮은 특정 질병 보험 (예: 특정 암보험, 특정 장기 보험 등)20대는 중대한 질병 발병 확률이 낮아 특정 질병만을 위한 보험을 가입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대신, 실손보험을 활용하면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제생각은 이 4가지 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