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고 자동차 수출 절차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국내에서 구매하여 사용 중이던 중고차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자동차관리법 제13조에 따라 자동차등록증, 등록번호판 등을 반납하고 시·도지사(차량등록사업소)에게 말소 등록을 해야 하며, 말소 등록된 차량에 한하여 수출할 수 있습니다.말소 등록이 완료되면 임시운행증을 발급(14일)받아 운송사로 차량을 보냅니다. 말소 등록을 위해 구비해야하는 서류로는 일반적으로 신청서 1부, 자동차등록증, 주민등록초본 1통(법인: 법인등기부등본, 개인사업자: 사업자등록증명원)등이 있습니다.수출통관절차는 수출물품 선정 → 수출물품 소재지 관할세관 수출신고(관세법인, 관세사무소 등에서 대행 가능) → 수출통관 요건 심사(검사 대상일 경우 물품검사) → 수출신고 수리 → 수출신고필증 교부 → 선적지 물품운송 → 선적(수출신고 수리일로부터 30일이내)으로 진행됩니다.수출신고 시 필요한 서류로 차량 말소등록증, 보세구역 반입증명서, Invoice, Packing list, 자동차 사진, 차대번호 사진, 컨테이너에 선적한 화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사진 등이 필요하므로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중고차 수출과 관련하여 관세청 블로그 게시글이 있어 링크드리니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https://m.blog.naver.com/k_customs/221320919319아울러, 중고차의 경우 국가별로 수입규정을 상이하게 규정하고 있으므로 현지 수입과 관련된 정확한 절차는 차량을 배송받을 현지업체나 코트라 해외무역관등에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해외구매대행의 경우 결제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문제가 생겨서 통관에 묶이는 경우는 왜 그런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잘 알고 계시는 바와 같이 해외직구로 구매하는 물품에 대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가 진행됩니다.*)구매자 주문 및 결제 -> 수출국 [판매자 접수 - 포장 - 운송업자 픽업 - 내륙운송 - 수출신고 및 검사(수출통관) - 선적 등 - 수출] -> 해외운송 -> 수입국 [입항 - 하선 등 - 수입신고 및 검사(수입통관) - 운송업자 픽업 - 내륙운송 - 구매자 수취]물품이 수출되기까지 별다른 이슈가 없었더라도, 우리나라 수입통관 진행 시 세관에서 X-ray 검사, 무작위선별 등으로 검사를 진행합니다. 저희가 수입하는 물품이 상표권을 위반하는 물품이나 수입금지 물품은 아닌지, 물품별로 필요한 수입요건을 갖추고 있는지 등에 대해 확인하는 절차이며, 심사기간이 짧게는 몇시간에서 길게는 일주일까지도 걸릴 수 있어 물품을 수취하기까지 그만큼 지연될 수 있고 요건 미구비 등으로 반입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도 자체적으로 불법적인 물품들은 어느정도 모니터링 하겠지만, 사전에 상표권 위반 물품인지, 수입금지 물품인지, 수입요건 갖췄는지 여부 등의 모든 요건을 고려하여 물건 등록을 막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고, 사후 보상 프로세스가 잘 갖춰져야 할 것 같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무역을 하시는 실무자분들 영어공부 많이하셨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무역업무를 맡게되셨다면 일반적인 토익이나 토플 등의 공부도 좋지만, 무역실무와 관련있는 무역영어를 공부하시는 게 좋습니다.무역영어의 경우 무역계약과 관련된 서류 작성방법이나, 무역결제, 무역운송, 무역보험 등 무역과 관련된 내용 및 CISG, Incoterms, UCP 등 국제적인 협정을 전반적으로 공부하며, 무역에 특화된 자격증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예를 들어, 무역에서 실무 상 사용되는 서류로 L/C, B/L, Invoice, P/L 등이 있는데, 무역영어 과목을 통해 이러한 서류가 무엇인지, 언제 사용되는지 등을 알게되는 것이죠.실제 기업의 무역과 관련된 부서에서는 상기 서류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무역영어를 공부해놓으면 실무 상 도움이 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무역업무까지 하고 있는데 과연 제 직무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무역관련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실무경험도 좋지만 무역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무역 관련 자격증으로는 관세사, 원산지관리사, 보세사, 국제무역사, 유통관리사, 물류관리사, 무역영어 1,2,3급 등이 있습니다. CJ대한통운, LX판토스, 현대글로비스와 같은 종합물류기업 뿐만 아니라 대기업 물류, 무역부서에서 일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취업준비생들은 취업 시 가산이 될 수 있는 국제무역사, 무역영어 등 자격증을 많이 취득합니다.뿐만 아니라, 토스나 토플, 오픽 등 영어와 관련된 점수를 함께 취득하여 무역업종에 지원하는게 경쟁적인 측면에서 더 괜찮을 것 같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일본에서 산 고양이 사료 한국으로 들고 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해외에서 구매한 반려동물 사료의 경우, 반추동물유래단백질을 함유하지 않은 소매용으로 포장된 애완동물 사료만이 국내 반입이 가능하며, 수출국 검역증명서(반추동물유래단백질이 함유되지 않았음을 증명) 및 수입사료 검정기관의 검사성적서 (반추동물유래 단백질 함유여부가 기재)가 필요하고, 검역관의 현물검사에 이상이 없을 시에만 국내 반입이 가능합니다. 관련 사이트 링크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https://www.qia.go.kr/Incheon/popup/saryo/petfood00.html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해외에서 제가 직접 위스키 구매 후 택배로 한국으로 보낼 시 세금?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물품가격 150달러 이하의 위스키라면 관세 및 부가세가 면세되고, 주세와 교육세가 부과됩니다.위스키는 물품가격의 72%에 해당하는 주세와 주세의 30%에 해당하는 교육세가 부과되고, 명백히 구분되는 운임은 과세가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특송업체에서 지정한 관세사무소 등을 통해 수입신고가 진행되고, 구매자의 전화번호로 문자 등을 통해 납부고지서가 송부됩니다. 세금을 납부해야 통관절차가 완료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