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상속 포기를 하면 이후 추가로 발생되는 상속에도 권리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훈 변호사입니다.상속포기는 상속인의 자격 자체를 포기하여 처음부터 상속인이 아닌 것으로 하는 것입니다.그리고 상속은 피상속인 사망시에 상속이 개시되며 피상속인의 모든 재산과 채무들이포괄적으로 승계됩니다.따라서 뒤늦게 상속재산이 발견되더라도 이는 상속개시시에 상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처리됩니다.상속포기를 하게되면 상속인 자격이 없어지므로 뒤늦게 발견되는 상속재산에 대해서도 상속을 받을수 없습니다.그리고 상속포기는 원칙적으로 취소가 인정되지 않습니다.다만, 착오, 사기, 강박에 의한 상속포기는 취소가 가능하지만 그 사유를 입증해야 되며 쉽게 취소를 하기 어렵습니다.그래서 상속재산이나 상속채무를 명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라면상속포기보다는 한정승인이 유리할수 있으며,상속재산 파악이 어려워 상속포기 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상속포기 기간을 연장해줄것을 법원에 청구할수 있습니다.
Q. 임차인이 계약 종료 후에도 보증금을 돌려 받지 못할 경우 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훈 변호사입니다.임대차계약 종료 후에도 임차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을 경우결국은 소송을 통해서 청구를 해야 될 수 있습니다.소송은 지급명령신청을 통할 수도 있고, 곧바로 보증금반환 소송을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그런데 소송은 판결이 확정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특히 대항력이나 우선변제권 요건 문제로 당장 이사를 나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이사를 나가지 못하고 주택을 계속 점유하고 있을 경우는 임차보증금에 대한 지연손해금을청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데,이럴 경우는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하여 임차권등기가 된 이후에 이사를 나가면기존의 우선변제권 요건이 그대로 유지됩니다.그리고 그렇게 이사를 나가면서 점유를 인도한 이후에는 보증금에 대한 지연손해금도 인정됩니다.지급명령이나 소송등을 통해서 보증금반환이 인정되고 판결이 확정되면이에 기해서 강제집행을 할 수 있는데, 해당 주택에 대해서 경매신청을 하여 배당을 받을수도 있고임대인의 다른 재산이 있다면 해당 재산에 강제집행을 할 수도 있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