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수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수연 전문가입니다.
이수연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2년 10월 19일 작성 됨
Q.
퇴직금 계산 방법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퇴직급여제도는 퇴직금제도, DB형 퇴직연금, DC형 퇴직연금으로 크게 구분됩니다. (개인형 irp제도는 따로 설명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이 중 퇴직금제도와 DB형 퇴직연금은 퇴직 전 3개월간의 평균임금으로 계산하며 구체적으로는 3개월간 평균임금/3개월의 일수(89~92)*재직일수/365로 계산됩니다. DC형 퇴직연금은 매년 연봉의 1/12를 퇴직연금계좌에 적립하였다가 지급하는 방식입니다.보통 사업장에서 퇴직금은 한 달치 임금이다 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며 위의 계산법에 따라야 합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2년 10월 19일 작성 됨
Q.
보안업체 계약기간 만료 후 다른 업체 계약시 퇴직금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도급사업 등에 있어서 고용승계를 하는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기존의 근로조건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바뀌었다 하더라도 소정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면서 총 1년 이상 근무하였다면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아르바이트 생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소정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면서 계속 근로한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는 아르바이트생 등 그 명칭과 관계없이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2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아르바이트 임금 계산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주5일, 1일 6시간 근무하는 경우 월 최저임금은4.34*(근무5일+주휴일1일)*6시간*9160원(최저임금) = 1,431,160원입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2년 10월 18일 작성 됨
Q.
근로 후 휴게시간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근로기준법 제54조(휴게)에서는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요.근로기준법 제54조는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 강행규정이며, 강행규정이란 당사자간 합의 등과 관계없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정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딱 4시간만 근무하는 경우에는 근로자도 사용자도 모두 불필요한 30분의 휴게시간을 부여받지 않길 희망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요.이러한 여론을 반영하여 국가권익위원회에서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추진 예정의 내용으로 현재 상태로는 강행규정이므로 안타깝지만 휴게시간은 반드시 부여야하여야 합니다.감사합니다.
81
82
83
84
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