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승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철 전문가입니다.
이승철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임금체불 출근안하면 법적문제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사용자가 최저임금을 준수하지 못하고 있다면, 근로자도 근로계약서의 내용을 지킬 신의칙상 의무가 없다 할 것입니다. 따라서 위 경우에는 2년을 못채우고 즉시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임금·급여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프리랜서의 부당근무와 부당해고에 따른 보상 가능 여부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실질이 프리랜서라면 그 계약의 종료와 보상 등에 대해서는 모두 계약에서 어떻게 정하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그러나 형식이 프리랜서이나, 실질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면 근로기준법이 적용될 것인데,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더라도 계약 만료 30일 전에 통보를 해주어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 근로기준법은 해고 30일 전에 예고를 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을 뿐, 계약만료는 해고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임금·급여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최저 임금이 얼마로 산정되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위 주5일 근무에 대해서는 2022년 최저임금으로 1,914,440원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또한 1달에 1번 추가 근무를 한다면 그 근로시간에 최저임금을 곱한 금액이 합산되어야 할 것입니다.다만 식대는 법적으로 강제된 수당이 아니기 때문에 근로계약서 등에서 식대 지급의무를 사용자에게 부과하고 있다면, 이를 근거로 사용자에게 요구할 수 있겠으나 그런 특별한 조항이 없다면 사용자에게 식대를 강제할 수는 없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근무부서 생산직여부 확인방법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위와 같은 내용은 통상적으로 근로계약서에 업무 내용이라는 항목을 참고하여 보시면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또는 회사의 조직도를 참고하여 보시거나, 인사팀에 문의를 하여 확인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휴일·휴가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이직확인서 발급은 회사의 의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고용보험법 제42조(실업의 신고) ③ 제1항에 따라 구직급여를 지급받기 위하여 실업을 신고하려는 사람은 이직하기 전 사업의 사업주에게 피보험 단위기간, 이직 전 1일 소정근로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하 “이직확인서”라 한다)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사업주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직확인서를 발급하여 주어야 한다.위 규정에 따라 요청을 받은 경우 사업주는 이직확인서 발급 의무가 생깁니다.
휴일·휴가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밀접접촉자 및 의심환자 무급휴가처리시 휴업수당지급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위와 같은 동거가족은 회사에 출근이 가능한데, 사용자가 선제적으로 코로나 19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출근을 막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위 근로자에 대해서는 휴업수당(근로기준법 제46조 참고)이 발생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휴일·휴가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근로자(시급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아직 발생하지 않은 연차유급휴가에 대해 사용자와 근로자가 미리 사용하기로 합의하였다면, 위와 같이 사용가능합니다.1. 위와 같이 주 소정근로일 모두에 대해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하였다면, 해당 주의 주휴수당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해당 주의 주휴수당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단 하루라도 해당 주의 소정근로일에 근로자가 출근을 하였어야 합니다.2. 그렇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일용직 근로자의 한달 개근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근로자가 사용자와 근무하기로 정한 근무일에 출근하였는지를 따져 1달 개근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따라서 평일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와 미리 근무하기로 정한 근무일이 아니라면 해당 평일에 출근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개근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연봉협상한지 두달만에 퇴사 시 문제될 것이 있는지외 연차수당받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연봉 협상 후 얼마 안되어 퇴사한다는 것 자체는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연봉계약서 등에 위와 같은 상황에 대한 규정이 있는지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연차유급휴가 10개를 남기고 퇴사할 경우 위 연차유급휴가는 모두 수당으로 전환되어 퇴사 후 14일 내 수당으로 받아야 합니다. 다만 사용자가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근로기준법 제61조 참고)을 적법하게 이행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상의무가 면제될 수는 있는데, 위 내용을 보았을 때 아직 사용촉진이 모두 이행된 것은 아닌 것으로 사료됩니다.
산업재해
2022년 3월 23일 작성 됨
Q.
4대보험 가입하지않아도 실업급여 받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실업급여(구직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을 때 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 현재는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나, 의무가입 대상임에도 사용자가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근로자가 직접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피보험자격확인 청구를 하여 3년의 기간에 대해 소급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때 근로계약서 등 근로관계가 존재하였음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할 것입니다.위와 같이 고용보험에 소급 가입한 후 퇴사사유 등에 따라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421
422
423
424
4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