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장성 보험 증여세 관련 문의. . . .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보험계약은 보험계약자, 피보험자, 보험수익자의 형태로 체결 및보험료 납입, 피보험자에게 보험사고 발생시 보험금에 대한 증여세또는 상속세 과세 여부가 달라지게 됩니다.예를들어 보험계약자인 부모님이 보험료를 납입하다가 향후 보험계약자를 자녀 명의로 변경 후 해당 보험계약의 만기 등의 보험사고발생시에 보험금을 수령하게 되는 데, 해당 보험료는 부모님이 납입한보험금 상당액은 증여로 보아 보험수익자인 자녀에게 증여세가 과세될 수 있습니다.이 경우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자 및 보험수익자 등의 보험계약 변경사항을 변경일이 속한 분기의 다음달 말일까지 국세청에 반드시제출하도록 법제화 되어 있음으로 국세청에서는 향후 이 내용에 대하여보험금 증여 여부 등을 검증하여 증여세 등을 과세할 것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Q. 부모님의 자금을 대리로 코인 투자하여 수익이 난 경우 세금 처리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자녀가 부모님으로부터 자금을2.17억원 이하의 자금을 무이자로 차입하여사용하다가 상환하는 경우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자녀에게 증여세를 과세하지 않습니다.이와달리 자녀가 부모님으로부터 자금을 증여받아 이 자금으로 코인, 토큰등의 가상자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은 경우 해당 자금 원금에 대해서는자녀는 증여받은 날로부터 3개월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 자녀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증여세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한편, 자녀가 부모님 자금을 운용하여 수익을 거양한 경우 실제로 부모님자금 여부, 증여 또는 차입 여부 등에 따라 세무처리가 달라지게 됩니다.부모님 자금을 자녀가 운용히여 부모님에게 반환하는 경우 이에 대한 증비준비를 해놓는 것이 중요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Q. 상속세 물납은 상속재산 중에서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피상속인(=돌아가신 분)의 사망 등의 원인으로 피상속인의 재산, 채무등이 피상속인의 상속인인 배우자, 자녀 등에게 상속이 되는 경우에는상속인은 피상속인의 상속개시일로부터 6개월이 되는 날이 속하는달의 말일까지 피상속인의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상속세 신고 납부를해야 하는 것입니다.이 경우 상속세는 현금 납부 원칙이지만, 상속세 납부할세액이 2천만원을초과하는 경우 상속인은 상속세를 물납신청할 수 있는 데, 상속세 물납은상속받은 재산으로만 신청 가능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Q. 상속세 물납시 재산의 가격은 감정평가로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피상속인의 사망 등의 원인으로 피상속인의 재산, 채무 등이 피상속인의상속인인 배우자, 자녀 등에게 상속이 되는 경우 상속인은 피상속인의사망일로부터 6개월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 피상속인의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상속세 신고납부를 해야 합니다.이 경우 상속재산에 대한 상속세를 현금 등으로 납부하기 어려운 경우상속받은 재산으로 상속세 물납을 할 수 있는 데, 상속세 납부할세액이2천만원 초과시 물납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피상속인의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물납신청을 하여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상속받은 재산으로물납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상속세 물납시 물납재산가액은 상속인이 신고한 상속재산가액으로하는 것임으로 상속받은 재산을 기준시가로 신고하여 세무서에서 기준시가로 결정이 된 경우 기준시가로, 감정평가를 받아 감정평가액으로상속재산가액에 대한 결정이 된 경우 감정평가액으로 물납재산가액이되는 것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