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인사말로 쓰이는 '안녕하세요'라는 표현은 언제부터 쓰였나요?

우리말에서의 가장 보편적인 인사말이고 어느 상황에서나 무난한 인사말인 '안녕하세요'라는 표현은 언제부터 보편적인 범용의 인사말이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지금과 같은 '안녕하세요'라는 인사말은 1945년 해방이후 교과서에 실리면서 사회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범용적인 말로 자리 잡았습니다.

    '안녕'의 어원은 '安寧'으로, '별일 없이 편안하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과거에 잦은 전쟁이나 질병으로 인해 이웃끼리 안부를 묻는 인사에서 유래한 표현이라고 하며, 인사말 말고, 그 자체의 의미로 다른 문헌이나 기록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표현입니다.

    오늘날에서 처럼 무난한 인사말로 자리잡게 된 것은 일제 강점 이후, 해방을 거치면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안녕(安寧)이라는 말은 한자어인데 별일 없이 편안하다’는 뜻입니다.

    중국의 고서인 <사기> 등에서도 그 말이 있었고, 그 의미도 지금에의 뜻과 동일하게 사회나 국가가 평안하고 안전하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 중국, 대만, 일본 등 한자 문화권에서 이것을 안부를 묻는 인사말로 쓰는 곳은 대한민국 하나 밖에 없다고 합니다.

    언제부터 보편적으로 사용하였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대기근으로 인해 사람들이 빈번히 죽어나가자 이를 여쭈는 말로 안녕하시요가 쓰였다는 설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결국 이 안녕이라는 말이 무사히 잘있다라는 것이고 상대방의 안녕한 상태를 여쭈어보는 말이므로 엄밀히말하면 뮬음표가 붙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영어의 How are you..처럼 관용적인 인사말로 굳어졌기 때문에 특별히 대답을 요구하지 않고 Hello와 같은 용례로 쓰입니다...

    • 해당 문체는 모든 현대어가 대부분 그러하듯 일제강점기때부터 현대 한국어 형태로 쓰이다가 해방 후에 교과서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