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본수도 도쿄의 부동산과 우리나라 수도 서울의 부동산 가격비교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네, 도쿄 또한 부동산비용이 높기로 유명하죠. 한번 대략적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서울의 평균매매가는 평당 약 4,200 만원 수준입니다. 도쿄의 평균매매가는 평당 약 4,000 원 수준입니다. (2025환율기준)이렇게만 놓고 보면 서울과 도쿄는 별 차이가 없어보이는데요, 사실 주택 구입의 난이도는 서울이 훨씬 높습니다. 그 이유는 주택의 구조 차이입니다. 제가 평단가만 놓고 비교를 했는데, 서울의 아파트의 경우 도쿄보다는 기준되는 평수가 더 커서 아파트 한채의 기준으로는 서울이 부담감이 훨씬 크게 다가옵니다. 도쿄는 1인가구용, 소형, 중형, 대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주거가 있어 평단가가 비슷하더라도한채의 가격으로 놓고 보았을 때 적은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는 집이 있습니다. OECD 지표상으로 보면, 서울은 가격수준 대비 소득이나 금리에 비해 버블에 가까울 정도로 집값이 높다는 보고 결과가 있습니다. 즉, 도쿄인들보다 버는돈은 적은데, 더 비싼 값을 주고 집을 산다는 것이지요. 반대로 도쿄의 경우 일본의 소득수준에 비해 적정하거나 저평가 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인구밀도 또한 이런 가격수준에 한몫 하는데요,서울은 km2 당 만6천명 이상 살고 있으나 도쿄는 같은 면적에 6천명이 사는 수준입니다. 한국의 수도 쏠림현상이 얼마나 심한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Q. 청년주택에서 부부임대주택으로 이사전 전입신고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전입신고는 실제 거주하는 주소로만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렇다 보니, 전입신고는 미리 할 수가 없으니 , 함께 들어가실 부부임대주택으로 미리 전입신고하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거짓 전입신고는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전입신고에 따른 공백기간이 있어도 불법이 아닙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일시적으로 없는 상태가 생기는 것은 가능하며, 법적으로도 반드시 주소지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의무는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기존 주택에서는 빼신 후 공백을 유지한 후 부부임대주택으로 이사한 뒤 바로 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