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증여할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인가요?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증여하는 경우 증여재산공제로 5천만원(미성년자인 경우 2천만원)이 공제되므로 5천만원(미성년자인 경우 2천만원)까지 증여세 없이 증여가 가능합니다. 다만, 할아버지와 손자는 직계존비속의 관계로 손자의 부모님이나 외조부모님도 직계존속에 해당하므로 할아버지로부터 손자가 증여받는 경우로서 손자입장에서 조부모님, 부모님, 외조부모님으로부터 증여일 현재 증여받은 재산이 있는 경우 그 때 공제된 증여재산공제는 차감하여야 합니다.즉, 직계존비속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 10년 이내에 증여재산공제는 5천만원(미성년자인 경우 2천만원)까지 공제됩니다.
Q. 작년 무근로자 5월종합소득세?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종합소득세는 종합소득이 있는 경우에 신고하는 것으로 종합소득에 합산되는 소득은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사적연금은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단, 2024년 귀속분부터는 1,500만원), 기타소득(기타소득금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이 있습니다.
Q. 회사를 다니는 회사원들은 따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연말정산으로 소득세가 확정되나, 근로소득자인 경우라도 종합소득에 합산되는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사적연금은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단, 2024년 귀속분부터는 1,500만원), 기타소득(기타소득금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이 있는 경우 근로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여야 합니다.
Q. 며칠 전, 종소세 신고완료했는데 3.3% 원천징수 한 것을 도로 돌려주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소득세 과세기간이 1.1~12.31이고, 세율은 과세표준의 구간별로 높아지는 누진구조로 되어 있으며, 소득을 지급받을 때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원천징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소득세는 과세기간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납부하여야 하는 데 이 때 납부할 세액이 소득을 지급받을 때 원천징수된 금액과는 다르게 됩니다. 따라서 그 차이가 (+)인 경우에는 세금을 적게 징수한 것이므로 납부하고, (-)인 경우에는 과다 징수한 것이므로 환급해 주는 것입니다.ㅣ
Q. 근로소득자인데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는 경우는 어떤경우 인가요?
안녕하세요.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종합소득에 합산되는 소득은 금융소득(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사적연금은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단, 2024년 귀속분부터는 1,500만원), 기타소득(기타소득금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이 있으며, 근로소득이 있는 상태에서 종합소득에 합산되는 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