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제 2형 당뇨병 유전적 요인 알려주세요
제2형 당뇨병은 단순히 하나의 유전자 결함 때문에 생기는 유전병과는 좀 다릅니다.오히려 여러 유전자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여기에 생활 습관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더해져 발병하는 '다유전성 질환'입니다.물론 말씀하신대로 제2형 당뇨병은 유전적 소인이 강합니다. 가족 중에 당뇨병 환자가 있다면 본인이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 일란성 쌍둥이 연구에서도 한쪽이 제2형 당뇨병일 경우 다른 한쪽도 걸릴 확률이 꽤 높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유전적 소인이 있다고 해서 모두 당뇨병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제2형 당뇨병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변이는 150개 이상입니다. 이 유전자들은 인슐린 분비나 인슐린 감수성, 포도당 대사, 췌장 베타 세포 기능 등 당뇨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부분에 영향일 미치기는 하지만 특정 유전자 하나만 문제가 생겨서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물론 특정 유전자 결함으로 인한 당뇨병도 있지만, 이는 'MODY(Maturity-onset diabetes of the young)'와 같이 제2형 당뇨병과는 별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결국 대부분의 경우, 제2형 당뇨병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는 질병 발생에 대한 '취약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이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당뇨병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당뇨병에 더 걸리기 쉬워지는 것이죠.
Q. 유당불내증이 요구르트를 먹어도 되는 이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발효 과정에서 유당이 분해되기 때문이며, 유산균이 이 분해를 돕기 때문입니다.우유에 들어있는 유당은 이당류입니다. 우리 몸은 유당을 소화하려면 락타아제가 필요한데, 이 락타아제가 유당을 단당류인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분해해야만 소장에서 흡수할 수 있습니다. 유당불내증은 바로 이 락타아제 효소가 부족해서 발생합니다.요구르트와 같은 발효유는 우유에 유산균을 넣어 발효시킨 것입니다.이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은 우유 속의 유당을 자신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데, 이때 유산균이 가지고 있는 락타아제 효소를 이용해 유당을 분해하고, 그 결과 젖산 등 다른 유기산을 생성합니다. 그래서 유산균에 의해 유당이 분해되면서 최종 발효유 제품에는 초기 우유보다 유당 함량이 훨씬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그리고 발효유를 섭취했을 때, 유당불내증 증상이 완화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유산균 자체가 장 내에서 락타아제 효소를 분비하거나, 장 환경을 개선하여 유당 소화를 간접적으로 돕기 때문이라는 연구도 있습니다.하지만 주된 이유는 먼저 말씀드린 발효 과정에서 이미 유당이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Q. 키성장기술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키 성장은 성장판이 열려 있을 때만 가능하며, 사춘기 이후 성장판이 닫히면 뼈가 더 이상 자라지 않습니다.현재 성인의 키를 늘리는 유일한 방법인 말씀하신 수술인 사지 연장술이고, 이 수술은 고통스럽고 합병증 위험이 크며 회복 기간도 길어 60대에게는 더욱 부담이 큽니다.하지만 미래에는 과학 기술 발전으로 높지는 않지만, 가능성이 열릴 수도 있습니다.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성장 관련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줄기세포 및 재생 의학으로 성장판과 유사한 조직을 재생하는 연구를 통해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죠. 또한, 생체 공학 기술과 나노 기술을 활용하여 뼈 성장을 촉진하는 방법도 구상해 볼 수 있습니다.물론, 이러한 기술들은 아직 초기 연구 단계이거나 이론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실제 적용까지는 오랜 시간과 연구와 함게 연구가 성공한 이후에도 윤리적인 부분은 물론 사회적 합의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60대 성인의 키 성장은 어려운 일이지만, 아주 먼 미래에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도 있습니다.
Q. 집에서 발견한 벌레.. 이거 대체 무슨 곤충인가요???
바퀴벌레 유충일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외형적인 특징이 바퀴벌레와는 좀 다릅니다.사진이 선명하지 않고, 이 사잔만으로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제 생각에는 땅노린재 종류로 보입니다.땅노린재는 딱정벌레처럼 둥글고 납작한 형태를 띠는 종들이 많고 이름처럼 땅속이나 흙 속, 또는 낙엽 아래 등에서 생활하며, 식물의 씨앗이나 열매를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일 주택 주변의 우거진 풀밭이 있다면 서식지가 될 수 있습니다.그리고 땅노린재가 아니라면 풍뎅이과의 딱정벌레목의 곤충 외형 특징도 보이니 역시 바퀴벌레는 아닙니다.하지만 둘 모두 집안으로 우연히 들어올 수 있는 종류들이 있고, 특히 외부 환경이 풀밭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더욱 그렇습니다.결론적으로 바퀴벌레 유충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