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전문가
보건복지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임신 11주 걸을때마다 왼쪽발바닥 통증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대 이완과 혈액순환 변화가 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활동량이 급격히 줄었다가 다시 걸으면 초기 통증처럼 나타날 수 있어요 통증이 지속되면 정형외과나 산부인과에서 평가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신경차단술 주사 맞고 두통약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대부분의 경우 신경차단술 후 게보린이나 애드빌 같은 진통제는 복용 가능합니다. 다만 출혈 위험이 있는 약물은 시술 직후 피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으니 주사 맞은 병원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통증이 심하거나 지속된다면 반드시 주치의 상담을 받으세요!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임신 11주 왼쪽 발바닥만 걸을 때만 통증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걸을 때만 발바닥 통증이 있다면 족저근막염 초기 증상일 수 있고, 임신 중 호르몬 변화로 인한 인대 이완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최근 활동이 줄었다면 근육, 인대가 약해져 걸을 때 부담이 커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휴식과 스트레칭으로 호전되지만 통증이 지속되면 산부인과 또는 정형외과 진료 권장합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진료확인서의 병명이 "추간판의 전위로 인한 요통" "아래 허리긴장/ 요추부"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병명의 뜻이 무엇인지와 해당병원에서 진단서 발급이 가능한지 궁급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추간판의 전위로 인한 요통은 디스크가 제자리에서 밀려나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이며, 아래 허리 긴장/요추부는 허리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되어 생긴 통증을 의미합니다.진료확인서를 발급한 병원에서는 진단서도 발급 가능하며, 필요 시 사유를 말하고 요청하면 됩니다. 산재 신청이나 병가용도라면 의사와 상의해 정확한 진단명이 포함되도록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전방 십자인대 파열 후 재건수술 대학병원 찾아가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대학병원은 자체 인대 재건 기술이 정교하고, 장기 예후에 유리한 경우가 많아 고려할 가치가 충분합니다.고2 나이에도 자기 인대를 쓰는 재건술은 많이 시행되고 경험 많은 대학병의 스포츠의학과에서 판단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타박상을 입었는데 어느 과를 가서 치료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타박상 찰과상 근육통이 복합적으로 있을 경우 정형외과 진료가 적절합니다. 시골이라면 근처 정형외과 의원에서 1차 치료를 받고 필요 시 상급 병원으로 전원 요청 받는 방식이 좋습니다!심한 타박 열감, 부종이 심하거나 통증 지속되면 골절 근육 손상 가능성 있으니 반드시 진료 받아보세요!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배드민턴발목삐끗한곳이너무아아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발목을 삐끗한 후 기울일 때 통증과 소리가 나면 인대 손상 가능성이 있어 단순 염좌를 넘는 경우도 많습니다.즉시 냉찜질, 압박, 높이기 하면서 통증 지속시에 정형외과에서 꼭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Xray로 골절 확인후 필요 시 mri로 인대 상태 확인해 적절한 고정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한쪽 골반 통증 원인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한쪽 골반 통증은 고관절 천장관절 이상근 증후군 등 근육 관절 신경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오래 앉는 습관이 좌우 불균형을 초래해 특정 쪽에 과부하가 가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에서 mri근전도 정밀체열 진단 등으로 진단가능하니 검사를 권장드립니다!
정형외과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엄지와검지 사이 손등부분이 저릿한 느낌이 나는데 어느 병원을 가봐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 증상은 손신경 압박 가능성이 있어 신경과나 재활의학과 진료가 적합합니다 정형외과는 뼈나 구조적 이상 확인에는 좋지만 저림 감각 이상은 신경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신경과에서 진단 후 필요시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로 연계해 치료 받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재활·물리치료
2025년 5월 28일 작성 됨
Q.
엑스레이 방사선량이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전체 방사선량은 15 20mSv정도로 추정되고 일상적인 건강검진 수준보다 높지만 암 등 건강 위험은 낮은 편입니다.CT가 방사선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엑스레이는 비교적 작은 양입니다.불필요한 반복 검사는 피하고 의료적 필요로 시행된 경우라면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86
487
488
489
4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