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퇴사 결정을 언제 말을 하는 것이 근로 계약과 연관하여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보통 한달 정도를 인수인계 차원에서 미리 말하는 것으로 많이들 하시는 것 같은데요. 근로 계약이나 법적인 부분에서는 어느 정도 기간이면 상관이 없나요? 어떤 사람인 2주 정도 이후에 나가는 사람도 있던데요.-> 근로자 사직 관련 문의로 사료되며,근로자는 언제든 자유로운 의사에 기하여 사직을 할 수 있는 것이며,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에 그 정함이 있는 경우 그에 따르게 되는 것이므로, 먼저 근로계약서 및 취업규칙에 사직에 관한 규정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해당 내용에 따라 사용자와 협의하여 사직을 정한 이후에 퇴사하시면 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Q. 알바때부터 계약직 전환시 퇴직금 계산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22년 3월부터 알바로 시작해서 23년 1월자로 계약직으로 전환이 됬습니다. 퇴직금을 받을수있을까요? 알바기준부터 일수를 잡나요 계약일로부터 잡나요?-> 퇴직금 관련 문의로 사료되며,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이상이고,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의 근로자에 대하여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따라서 만 1년 미만으로 재직하는 등, 위와 같은 내용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에는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
Q. 월요일부터 7일간 격리 후 연차휴가로 대체하면 해당 주의 주휴수당은?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코로나로 인해 7일간 격리했는데 공교롭게 월요일부터 7일이어서 해당 한 1주는 다 쉬었습니다.이렇게 되면 해당 주는 연차수당은 받겠지만 주휴수당은 사라지는 건지 궁금합니다.-> 주휴수당 관련 문의로 사료되며,주휴수당은 1. 소정근로일을 개근하고, 2. 소정 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인 경우에 발생합니다.따라서, 연차유급휴가를 전부 사용한 경우, 개근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주휴수당은 발생하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