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문학에서 여성주의 비평이 작품 해석에 새롭게 기여하는 방식은?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여성주의 비평은 문학 작품을 해석할 대 성별의 권력 관계와 여성의 목소리에 주목합니다. 전통적인 문학 해석이 남성 중심적 관점에 치우쳐 있었다면 여성주의 비평은 그 속에서 억압되거나 침묵당한 여성의 경험을 드러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품 속 여성인물을 단순히 주변적 존재나 희생자가 아닌 주체적인 인물로 재발견할 수 있으며 작품에 반영된 가부장적 질서와 성차별 구조를 인식하게 합니다. 또한 남성 중심 문학사에서 소외되었던 여성 작가와 여성적 글쓰기 전통을 조명함으로써 문학사의 범위를 넓히는 데 기여합니다. 조선 후기 '사씨남정기' 등에서 드러난 여성의 모습을 주체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해석한다던가, '숙향전, 박씨전' 등의 소설에서 남성보다 뛰어난 여성의 능력, 또는 인내하는 여성의 모습 등을 찾아내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여성주의 비평의 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국어 중에 두음법칙이 예외적으로 적용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두음법칙은 한자어의 첫소리에 오는 'ㄹ'이나 'ㄴ'이 발음하기 어렵거나 어색할 때 다른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예를 들어 '녀자'는 '여자', '렬차'는 '열차'로 고쳐 쓰입니다. 그러나 이 규칙이 항상 적용되는 것을 아닙니다. 먼저 고유명사, 특히 인명이나 지명에서는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기도 하는데 '라종일'과 같이 한자 성씨를 사용할 때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합성어 단어 내부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데 합성어에서는 '급류, 공략' 등이 그 예입니다. 외래어와 순우리말에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라디오', '리본', '루마니아' 같은 단어는 원음을 보존합니다. 그리고 순우리말 '누에, 너구리, 느릅나무' 등에도 두음법칙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두음법칙은 주로 한자어 첫머리에만 적용되고 고유명사, 합성어 내부, 외래어와 순우리말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Q. 'ㄷ'소리받침을 어떤 경우에 ㅅ 내지 ㄷ으로 써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받침 'ㄷ'은 기본적을 단어 끝에 올 때에는 그대로 [ㄷ]으로 발음되고 표기에서도 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곧', '옷'과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활용 과정에서 받침의 변화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규칙 활용을 하는 경우에는 받침 ㄷ이 그대로 유지되어 '닫다 - 닫고 - 닫지'와 같이 적습니다. 반면에 일부 동사는 'ㄷ 불규칙 활용'을 하는데, 이때 어간의 받침 ㄷ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를 만나면 ㄹ로 바뀝니다. 예를 들어 '듣다-들어', '걷다-걸어', '묻다-물어'와 같은 형태가 그것입니다. 따라서 받침 ㄷ은 원칙적으로 쓰되, 특정 동사에서 불규칙 활용이 일어날 때만 ㄹ로 교체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문학에서 리얼리즘이 산업화 시대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방식은?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은 사회적 현실을 사실적으로 드러내면서 그 속에 내재한 모순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둡니다. 산업화가 진행되던 시기에는 도시화와 공업화, 농촌의 해체,계층 간 격차와 빈부 불균형, 노동문제 등이 심각한 사회현실로 부각되었는데 사실주의 문학은 이를 구체적인 인물과 사건을 통해 생생하게 묘사했습니다. 특히 조세희의 '난쟁이가 쏘아올리 작은 공' 등의 작품에서는 도시 빈민이나 노동자의 삶을 있는 그대로 그려내어 산업화가 남긴 상처를 보여주고 농촌 붕괴나 가족 해체, 인간 소외와 같은 문제를 통해 구조적 불평등을 비판했습니다. 이처럼 사실주의는 개인의 고통을 단순히 사적인 문제로 그치지 않고 사회 전반의 모순과 연결해 제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현실을 성찰하도록 했습니다. 사실주의 문학은 사실적인 묘사와 비판적 시선을 통해 산업화 시대의 어두운 이면을 폭로하고 독자에게 사회적 문제를 직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습니다.
Q. 중국어의 성조인 4성 체계와 한시의 평측 체계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중국어의 4성 체계는 말을 할 때 나타나는 발음상의 성조로, 소리의 높낮이와 변화 방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성은 평평하게 유지되는 소리, 2성은 낮았다가 놀라가는 소리, 3성은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는 소리, 4성은 높이에서 급격히 떨어지는 소리입니다. 반면 한시의 평측 체계는 발음 자체보다는 시의 운율을 맞추기 위한 규칙으로 평성(평평하고 안정된 소리)과 측성(올라가거나 꺾이는 소리)을 교차 배치하여 시의 운율감을 조율합니다. 4성 체계는 발음을 구별하는 소리체계이고 한시의 평측은 운율적 장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