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공인중개사를 따신 분들이 대도시에서 개업을 하고 실제로도 대도시에서 많이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공인중개사뿐 아니라 사회복지사, 법무사, 행정직 자격증 등을 대도시 거주자들이 많이 취득하고, 또 대도시에서 활동하려는 이유는 현실적인 조건과 기회 차이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1. 대도시는 고객(수요)가 많습니다공인중개사: 부동산 매물, 임대차 수요, 상가/오피스 밀집 → 거래량 많음사회복지사: 노인/아동/청년 등 다양한 복지 대상이 많음 → 기관도 다양법무사·행정직: 민원·등기·소송 수요 자체가 많음 → 일감이 많음>> 자격증을 활용해 돈 벌거나 일하려면 대도시가 훨씬 유리합니다.2. 시설과 제도가 더 잘 갖춰져 있음개업공인중개사라면 상가 임대시장, 행정 서비스 접근이 중요하고,사회복지사라면 복지기관/복지관/시설이 많아야 하고,법무사·행정고시라면 법원, 등기소, 관공서 밀집지역이 필수입니다.>> 대도시는 업무 환경, 정보, 기회에서 월등히 유리합니다.3. 교육/자격증 학원, 커뮤니티 등이 집중시험 준비도 서울·부산·대구 등지의 대형학원, 정보 커뮤니티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소규모 지방에서는 온라인 외에는 스터디나 정보 교류 기회가 적음.4. 소득 차이같은 공인중개사라도 서울 강남, 마포, 분당 등은 월 천 이상 벌기도 하지만,지방 중소도시는 거래 자체가 없거나, 수수료도 낮고 경쟁도 심함.사회복지사도 지방일수록 임금이 낮고 근로환경이 열악한 편입니다.5. 경쟁도 있지만 기회도 많음“대도시는 경쟁이 치열하니 지방이 낫다”는 말도 있지만,실제로는 수요 없는 곳에서의 생존이 더 어렵습니다.어느 정도 경쟁을 감수하고도, 생계 가능한 도시를 택하는 게 현실입니다.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대도시에 몰릴 수 밖에 없습니다.
Q. 아파트 거주하면서 주차비를 매달 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에 거주하면서 매달 주차비를 내는 경우는 일반적이며, 법적·행정적으로도 허용된 일입니다. 다만, 그 징수 근거와 방식이 정당한지는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23조아파트 내 주차장도 공용부분으로 간주되어, 입주자대표회의·관리규약·입주자 동의 등에 따라 사용료(주차비)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관리규약 또는 입주자대표회의 결의가 있었다면 적법즉, 주민들이 동의하거나 회의에서 결의된 사항이면 징수가 가능합니다.일반적으로 신축 아파트는 입주자 모집공고에서 주차비 징수 기준이 명시되기도 합니다.이와 같이 입주자대표회의에서 결의한 사항이라면 주차비를 관리비에 같이 징수할 수 있지만,회의록이 없고 관리 규약에도 별도 명시가 안되어 있다면 주차비 징수는 문제가 될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관리사무소에 징수 근거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 보실 수 있을 듯 합니다.
Q. 성심당 대전 이전 사건은 어떻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성심당 대전역점의 임대료 인상 논란은 최근 일단락되었습니다. 코레일유통이 제시한 임대료를 대폭 인하하면서 성심당은 대전역에서 영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성심당은 2019년부터 대전역 2층 맞이방(약 91평)에서 월 약 1억 원의 임대료를 내고 영업해왔습니다. 하지만 2024년 4월, 코레일유통은 계약 갱신을 앞두고 내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를 수수료로 적용, 월 임대료를 4억 4,100만 원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기존보다 4배 이상 오른 금액으로, 성심당 측은 부담을 호소하며 재계약에 난색을 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입찰 공고는 5차례나 유찰되었고, 사회적 논란으로 번졌습니다. 논란이 지속되자 코레일유통은 감사원에 사전 컨설팅을 요청했습니다. 감사원은 "입찰이 수차례 유찰된 경우 입찰 기준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조언하였고, 이에 따라 코레일유통은 수수료율을 월 매출의 17%에서 6%로 낮추었습니다. 그 결과, 월 임대료는 1억 3,300만 원으로 약 70% 인하되었습니다. 임대료가 기존 수준과 유사하게 조정되면서, 성심당은 대전역 매장에서 영업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코레일유통은 6차 입찰 공고를 통해 2024년 9월 23일까지 제안서를 받아 운영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