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마서하 노무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마서하 노무사입니다.
마서하 전문가
베르 노무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1월 20일 작성 됨
Q.
고용주가 약속한 야근 수당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마서하 노무사입니다. 사용자와 원만히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제대로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 사업장을 관할하는 지방노동관서에 진정서를 넣을 수 있습니다.
2023년 1월 20일 작성 됨
Q.
퇴직금을 얼마나 받을수가 있는지?
안녕하세요. 마서하 노무사입니다.퇴직금은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총재직일수/365) 의 산식으로 계산합니다. 1일 평균임금 8만원이라고 가정하고 총 1247일을 근무했다면 8만원 x 30일 x (1247일/365) 과 같이 계산하게 됩니다. 문의 주신 사항에서 굳이 둘중에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면 3년치가 아니라 3년 5개월치가 더 맞겠습니다.
2023년 1월 20일 작성 됨
Q.
직장내괴롭힘 성립 여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마서하 노무사입니다. 직장 내 괴롭힘은 행위의 내용 및 정도, 행위 장소 및 상황 당사자와의 관계, 행위의 기간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으나 적시하신 상황에서 사용자의 행위가 자진퇴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평가될 만한 부분은 찾기 어려우며 문의 주신 내용만으로는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라고 보기는 어렵다 생각됩니다.
2023년 1월 20일 작성 됨
Q.
질문 실업급여 대상이 가능한지?
안녕하세요. 마서하 노무사입니다. 실업급여는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실업하는 경우에 지급이 되는 것으로 자발적인 퇴사의 경우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고용보험법 제58조에 의해 자기 사정으로 이직한 피보험자가 수급자격을 제한받지 않기 위해서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정당한 사유에 해당해야 합니다. (임금체불, 직장 내 괴롭힘, 직제개편에 따른 조직의 폐지,축소 등)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2023년 1월 20일 작성 됨
Q.
계약기간의 만료로 퇴사하는 경우에도 사직서 작성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마서하 노무사입니다. 계약기간 만료로 퇴사하는 것은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날짜가 도래하면 근로관계가 자동으로종료되는 것이므로 사직서를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