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야근 수당 근로자가 요구하면 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덕재 노무사입니다.기본적으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야간근로수당은 근로자의 요구가 없더라도 야간근로가 발생하면 지급되어야 합니다.대체휴가는 법적인 용어는 아니고 보통 실무에서 편의에 따라 부르는 것으로 근로자를 연장, 야간, 휴일 근로를 시킨 뒤에 다른 근로일에 쉬도록 하는 인사제도입니다.취업규칙에 대체휴가를 규정하는 사안은 해당 내용을 직접 보고 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회사에서 규정한 것이 대체휴가인지, 근로기준법상 보상휴가제인지 문제가 되기 때문입니다.간략하게 참고차 말씀드리면 대체휴가는 사전에 제도를 마련할 필요는 없고 사후적으로 대체휴가를 지급해도 가능한 것이지만, 보상휴가제가 적법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가 사전에 규정되어 있어야 가능합니다.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규정을 다시 살펴보시거나 회사에 질의를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Q. 5인이상 사업장 법정연차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덕재 노무사입니다.1. 연차휴가는 1년 미만의 경우 11일, 1년 이상인 경우 15일 / 2년마다 1일씩 가산됩니다.2. 연차수당 금액에 대략적인 감을 잡아드리기 위해 예시를 안내드리겠습니다. 연차휴가 입사일 기준발생 , 연차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면2019.6 ~ 2020.5, 11일 연차2020.6 ~ 2021.5, 15일 연차, 11일 연차수당(19년 11일)2021.6 ~ 2022.5, 15일 연차, 26일 연차수당(19년 11일 + 20년 15일)2022.6 ~ 2023.5, 16일, 41일 연차수당(19년 11일 + 20년 15일 + 21년 15일)2023.6 ~ 2024.6, 16일, 46일 연차수당(20년 15일 + 21년 15일 + 22년 16일)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연차수당 청구는 가능합니다. 다만 근로계약서 미작성 및 미교부는 근로기준법 위반사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