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밖에 모르는 배려심 부족한 아이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다른 사람들은 전혀 챙길 줄 모르고 타인에게는 어떠한 배려도 할 줄 모릅니다. 보고있으면 답답해지는데요. 어떻게하면 배려심이 부족한 아이로 바꿔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자신 밖에 모르는 이유는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는 부분이 부족해서 입니다.
우선은 아이에게 좋은 교육은 밥상머리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입니다.
아이에게 인성교육을 시켜주어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하고, 상대의 마음을 이해하고, 상대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매일 꾸준히 교육을 시켜주세요.
그리고 아이에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고, 왜 그것이 잘못된 행동인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고, 아이의 행동지도를 해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자기 밖에 모르는 배려심이 부족한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행동으로 교정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모님이 했던 행동들에 대해서도 분석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바로 고쳐주시면서 아이들이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우리 아이를 위해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고 어릴때 행동을 교정해주지 않으면 버릇이 된다고 하니 조심히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배려심도 학습입니다. 아이들은 원래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많이 하는 편이기도 하구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님께서 배려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시고, 단순히 보여주기만으로 잘 안되는 아이들은 상황마다 어떻게 대처하고 행동해야하는지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한 책을 이용해서 같이 읽어보며 배려와 존중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모습을 보고 자랍니다.
부모님의 양보하고 차례를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그리고 가족끼리 자원봉사 활동을 나가거나 불우이웃을 돕는 모습을 통해
아이들은 저절로 좋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배려심을 키우려면 아이에게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도록 돕고 배려하는 행동을 실천할 기회를 주세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역할극이나 놀이를 통해 경험하게 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배려의 의미를 설명하고, 일상 속에서 작은 행동으로 배려를 실천하도록 격려하세요.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놀이와 대화를 통해 서서히 배려심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배려심을 보일때마다 칭찬하고 격려해주어 배려행동을 강화해주세요. 배려는 자연스럽게 성장하는 과정이므로 꾸준히 모델링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협력적인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세요. 팀놀이나 역할놀이에서 서로 돕고 나누는 경험을 쌓도록 유도합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배려심이 부족하다는 건 모델링을 할 사람이 없어서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는 부모의 모습을 가장 많이 보고 배우기 때문에 부모가 타인에게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많은 것을
보고 배울 수 있을 거에요
또는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아이의 현재 감정상태를 알 수 있다면 좋을 거 같습니다
역할극을 통해서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을 길러주시는 것도 좋아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우선은, 모범이 되는 예시를 소개해주세요. 부모와 가족 구성원들이 타인에 대한 배려와 예의를 보여주는 모범적인 예를 제공하세요. 아이들은 주변 어른들의 행동 을 본떠 배웁니다.
두번째, 아이들은 배려심을 한 번에 가지기 어렵기에 하나씩 연습해가는것입니다. 점진적으로 배려하는 태도를 배우게 하기 위해 일상적인 상황에서 조금씩 배려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
셋째, 아이들에게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감정을 이해하는 법을 가르쳐주세요. 이렇게 하면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습니다.
넷째, 감사와 인사 습관화시키는 겁니다. 감사의 말과 인사의 중요성을 가르쳐주세요. 사소한 일에도 "고마워요""안녕하세요"라는 말을 잊지 말고 사용하도록 유도하세요.
마지막, 공동체 활동 참여하도록 하는겁디다. 아이들이 동아리나 봉사활동 등 공동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이러한 활동은 협력과 배려심을 키우는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