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23.07.05

상장지수펀드와 상장지수증권의 차이는 점은?

ETF 요즘 흔한 말이 됐는데 이건 상장지수펀드입니다. 펀드를 사고팔고 할수 있게 한거요. 그러면 ETN은 상장지수증권이라는데 어떤 증권을 상장시킨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상장지수펀드는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의 지수를 따라가는 포트폴리오를 소유하는 투자 도구입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S&P 500 ETF가 있습니다.

    상장지수증권은 주가 지수와 연결된 채권 형태의 파생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거나 반대로 베팅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채권 형태로 발행되며, 발행기관은 지수의 성과에 따라 투자자에게 일정한 이자나 수익을 제공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TF는 자산운용사, ETN은 증권사가 운용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ETN은 증권사의 신용으로 발행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는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고,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이며 증권은 원자재 통화금리 변동성 등을 기초자산으로 해 이 자산의 성과대로 만기에 수익 지급을 약속한 증권을 뜻한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증권)은 모두 주식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이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ETF는 실제 자산(주식, 채권, 원자재 등)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회사의 지분을 나타내는 거래소 거래형 상품입니다. 반면에 ETN은 금융 기관이 발행한 채권 형태의 상품으로, 해당 금융 기관의 신용 등급에 의존합니다. ETN은 투자자에게 해당 자산의 수익을 약속하고, 발행자의 신용 위험을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TF는 펀드로 발행 주체가 자산운용사이며, 펀드가 지켜야 할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ETN의 발행 주체는 증권사입니다. ETF와 분명한 차이는 ETN은 신용리스크, 즉 노트를 발행한 증권사의 부도리스크가 있다는 점입니다. ETN은 증권사가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아 만기까지 기초자산의 수익률을 그대로 복제하여 돌려주겠다고 약속한 채권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장지수펀드는 특정 지수를 추종하며, 여러 종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투자 상품입니다.

    상장지수증권은 해당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파생상품으로, 지수 포지션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파생상품을 통해 투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차이는 ETF는 실제로 주식을 매입하여 자산을 운용하는 방식이고, ETN은 기초지수 수익률을 반영하여 운용되는 방식으로 증권사의 신용으로 발행하는 상품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ETF의 경우 증권사가 파산하더라도 실제 주식이라는 자산이 있기 때문에 투자금을 찾을 수 있는 반면, ETN은 증권사가 파산하게 되면 투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는 주가지수, 채권 관련 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하여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한 펀드를 의미합니다.

    상장지수증권(Exchange Traded Note)는 특정 지수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된 파생결합증권입니다. ETF와 유사한데 ETN는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고객에 그대로 지급하나 ETF는 기초지수를 추종하여 수익률 산출하는 구조입니다. 아래 경제교육원 내 관련 설명을 참조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http://koreaifp.com/financial_magazine/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