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아무리 최소한의 에너지만 소비한다고 하여도 어떻게 오랫동안 살수 있을까요?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아무리 잠만을 잔다고 하여도 기본적인 신진대사 활동을 최대한 낮춘 상태에서 겨울을 지낸다고 하는데요 그래도 오랫동안 자면서 살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이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는 비결은 단순히 자는 것만이 아니라, 생리학적 변화와 철저한 준비 덕분입니다. 주요 원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극단적으로 낮아지는 신진대사율로 인해 겨울잠(Hibernation) 중에는 체온, 심박수, 호흡수, 뇌 활동 등이 모두 극적으로 감소합니다. 이런 식으로 신체의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먹지 않아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겨울 전에 지방을 충분히 축적하는데요 겨울잠에 들어가기 전, 동물들은 평소보다 많이 먹어 지방을 저장합니다. 이 지방은 겨울 동안의 유일한 에너지원입니다. 지방 1g당 약 9kcal의 고에너지를 제공하므로, 지방이 많을수록 더 오래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간헐적 각성과 체내 조절을 합니다. 일부 동물은 겨울잠 중에도 몇 주에 한 번 깨어나 체온을 올리고 배설하거나 위치를 바꾸는 행동을 합니다. 이는 면역체계 유지, 노폐물 처리 등을 위해 꼭 필요한 행동입니다. 또한 몸 크기와 겨울잠 전략의 차이를 보이는데요, 작은 포유류(박쥐, 다람쥐 등): 깊은 겨울잠을 자고 체온도 거의 주변 환경과 비슷하게 떨어집니다. 큰 동물(곰 등): '진정한 겨울잠'이라기보다는 체온을 약간 낮춘 상태에서 얕은 겨울잠을 자며, 필요할 땐 쉽게 깰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합니다. 결론적으로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단순히 잠을 자는 것이 아니라, 생리 기능을 극단적으로 억제하고, 지방 등 에너지를 철저히 저장한 뒤, 이를 천천히 연소하면서 살아가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몇 달 동안 먹지도 마시지도 않고 생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겨울잠을 자는 동물은 겨울이 오기 전에 몸속에 충분한 지방을 축적합니다. 겨울잠에 들어가면 체온, 심박수, 호흡수 등 신진대사율을 극도로 낮춥니다. 이렇게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축적된 지방만으로 긴 겨울 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신진대사 활동을 극도로 낮춘 상태로 겨울을 지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잠만 자는 것은 아니며, 생존을 위한 생리적 과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겨울잠 동안 동물들은 체온을 주변 온도 가까이로 낮추고, 심박수와 호흡 횟수를 줄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죠. 하지만 겨울잠에 자기 전에 몸에 충분한 지방을 축적해둡니다. 이 지방은 겨울잠 동안 천천히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비상 식량입니다.
또한, 겨울잠 중에도 일부 동물들은 잠시 깨기도 합니다. 이때 배설을 하거나 체온을 다시 높이기도 하고, 아주 드물게 먹이를 먹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다람쥐와 같은 동물이죠. 즉, 완전히 동면 상태로만 계속 잠들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단순히 잠만 자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와 축적된 지방을 이용하여 겨울에 살아남는 것입니다.